‘스마트 공장’으로 생산성은 ‘쑥’…불량률은 ‘뚝’
*‘스마트 공장’으로 생산성은 ‘쑥’…불량률은 ‘뚝’
[앵커]
첨단 IT 기술과 센서, 로봇이 자동으로 척척 물건을 만드는 공장을 '스마트 공장'이라고 합니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만든 공장이죠.
그런데 이런 공장 많아지면 가장 큰 걱정이 일자리입니다.
일자리가 줄어들지 않을까, 그런데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일자리가 늘어나는 스마트 공장, 먼저 보시죠.
[리포트]
자동차용 너트를 만드는 중소기업입니다.
2015년부터 단계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네 단계 공정을 한 단계로 줄이고, 컴퓨터를 활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게 핵심입니다.
불량품이 언제, 어디서, 왜 생기는지가 기록되는데, 이걸 보고 공정을 관리하다보니, 불량품 수는 절반으로 줄고, 설비 가동율은 90%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민수홍/프론텍 대표 : "(공정을) 일체화시키는 데 저희가 중점을 뒀거든요. 그래서 그런 일체화된 생산 라인 구축을 통해서 생산성도 더 올라가고, 품질도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기업은 지난해까지 7800 곳, 실제로 생산성은 높아지고 불량률은 낮아졌습니다.고용도 평균 2.2명이 늘었습니다.
자동화 공정 도입으로 일자리가 주는 게 아닌가 싶었지만, 오히려 시스템 전문 관리 인력이 더 필요해진 겁니다.
생산성 향상 등으로 기업 수익성이 좋아져 기존 인력은 유지하면서도 사람을 더 뽑는 게 가능해졌습니다.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2조 3천억 원을 투입해 중소 제조업체 3만 곳에 스마트공장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KBS뉴스 2월 6일자)
소견)자동화 공정 도입으로 일자리가 주는 게 아닌가 싶었지만, 오히려 시스템 전문 관리 인력이 더 필요해서(고용도 평균 2.2명 증가) 과연 자부담내고 스마트공장 구축했겠습니까? 아님니다. 초기에는 작업자가 줄지만 고객품질 등 인정받아 물량증가로 라인증설로 인력을 충원하는 것이 맞지 않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