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업종 취업자 2,200명 줄어···조선도 22개월 연속 감소세
*車업종 취업자 2,200명 줄어···조선도 22개월 연속 감소세
# 서울 성수동의 금속가공업체 A사는 지난해 말 2억원짜리 금속 절단기계 2대를 추가로 도입했다. 직원 수를 동결하는 대신 기계를 늘린 것이다. A사 김모 대표는 “신규 채용을 하지 않고 기계로 인력을 대체하고 있지만 과연 얼마나 버텨낼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답답한 심경을 드러냈다.
# 해외에서 꽤 알려진 B 디자이너 브랜드는 해마다 3명의 신입사원을 뽑았지만 올해는 2명만 고용하기로 정했다. 가뜩이나 국내 패션시장이 글로벌 SPA 브랜드와 해외 직접구매 등의 영향으로 쪼그라들고 있는 마당에 최저임금 악재까지 겹치며 비용 부담이 불어났기 때문이다. 이 회사 수석디자이너는 “지금 같은 불경기에 당장 인건비가 100만원 이상 늘어났다”며 “영세한 브랜드들 입장에서는 젊은 감각의 신규 인력이 필요하지만 생존을 위해 채용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 경기도 시화에 자리한 자동차부품회사 D사는 200억원을 들여 자동화 설비를 갖춘 제2공장을 마련했다. 하지만 급격하게 오른 인건비를 부담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최후덕 대표는 “최저임금이 적용되면서 인당 60만~70만원의 추가 부담이 발생했다”며 “자동화 설비를 갖춰 놓아도 기본 인력은 필요한데 임금은 올라가고 (업체 간 경쟁으로) 제품 가격은 떨어지니 기존 인력을 유지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라고 하소연했다.
고용노동부가 11일 공개한 ‘2018년 1월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제조업 취업자(고용보험 피보험자)는 357만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00명 줄었다. 지난해 11월과 12월 각각 전년 동기보다 늘어났던 제조업 취업자가 2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서울경제 2월 11일 내용 일부)
소견)최저임금 인상발(發) 고용쇼크가 가장 큰 타격을 준 산업은 한국 경제의 심장이자 버팀목인 제조업이며 이 가운데 가장 휘청거린 업종은 자동차와 조선(기타운송장비), 섬유제품, 의복·모피입니다. 근본대책으로 돈을 최대한 들이지 않는 간이자동화로 제조역량을 강화시켜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