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벼랑끝 中企 "1弗 놓고 경쟁하는데, 2년새 최저임금 29% 오르면…"

이남은 2018. 12. 9. 00:30

*벼랑끝 中企 "1弗 놓고 경쟁하는데, 2년새 최저임금 29% 오르면…"

수도권의 등산용품업체 A사는 내년에 공장을 베트남으로 이전하기로 했다. “최저임금의 가파른 인상과 1년 앞으로 다가온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해법을 강구하다가 선택한 대안”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공장 이전은 말이 해외 진출이지 사실 ‘탈출(exodus)’이라고 했다. 베트남 공장은 현지 근로자로 채울 예정이다. 국내 근로자 100여 명은 서서히 줄여 연구개발 인력 20여 명만 남길 방침이다. 이 회사 L사장은 “글로벌 시장에선 1달러를 놓고 경쟁사와 싸우는데 2년 동안 최저임금을 29% 올리는 것은 근로자를 위한 정책이 아니라 일자리를 없애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중소기업들이 최저임금 인상에 인력 감축과 탈출, 공장 증설 포기에 나서며 경기 전체가 위축되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베트남을 생각해보지 않은 기업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한 중견기업 사장의 말이다. 임금 수준뿐 아니라 인상률 면에서도 해외 이전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얘기다. 실제 최저임금 인상률은 내년 한국 10.9%, 베트남 5.3%다. 올해는 격차가 더 컸다. 한국 16.4%, 베트남 6.5%였다. 베트남도 급격한 임금 인상의 후유증 때문에 속도조절을 하고 있는데 절대적으로 높은 임금을 받고 있는 국내에서 이보다 높은 임금을 적용하면 경쟁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베트남 등 해외로 나갈 형편이 안되는 기업들이 할 수 있는 선택은 인원 감축밖에 없다. “내년 10.9% 인상은 간당간당 유지하고 있는 회사를 어떻게 해야 할지 걱정하게 만들고 있다”고 말하는 중소기업인이 늘고 있다. 주로 뿌리산업과 사양산업에 속해 있어 타격은 더 크다.

서울 을지로에 있는 영세 인쇄업체 B사는 최근 직원 2명을 내보냈다. 연말인데도 캘린더와 교재 등 인쇄 수요가 늘지 않아 어쩔 수 없었다는 게 회사 대표의 말이다. 인쇄업종은 전국 1만9000여 개 업체에 8만여 명이 종사하고 있다. 10명 미만 사업장이 94%에 달할 정도로 영세하다. 김희성 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전무는 “인건비 상승과 일감 축소로 대부분 업체가 벼랑으로 몰리고 있다”며 “생존을 위해 인력을 줄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제 12월 5일 내용 일부)

소견)주물·도금 등 뿌리기업에 '직격탄'이며 영세 中企가 할 수 있는 건 인력 감축·증설 포기·해외 탈출뿐이라 우리나라의 정책 안 바뀌면 폐업이 속출할 것인데 매우 걱정이 아닐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