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가 안 팔린다"…한국 車산업, 판매절벽에 '허리' 끊어질 판
한국 자동차업계가 판매 부진의 공포에 휩싸였다. 한국GM 쌍용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등 중견 자동차 3사는 ‘판매절벽’ 수준에 직면했다. 해외 판매가 부진한 상황에서 내수시장에서도 고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 침체와 소비심리 위축의 직격탄을 맞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한국GM과 쌍용차, 르노삼성의 올해 상반기 판매량은 38만6602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감소했다. 반기 기준으로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상반기 이후 최저치다.
판매 부진은 생산량 감축으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쌍용차는 이달 나흘간 공장 문을 닫기로 했다. 2009년 이후 처음이다. 한국GM과 르노삼성의 공장 가동률도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판매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올 1~5월 판매량은 사드 보복이 한창이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도 20% 이상 줄었다.
차업계의 판매 부진 후폭풍은 부품업계로 전이되고 있다. 한라그룹 계열 자동차 부품사인 만도는 88명인 임원을 20% 이상 줄이고, 440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대규모 희망퇴직을 시행하기로 했다. 창사 이후 첫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이다.
쌍용자동차가 이달 나흘간 공장 가동을 중단한다. 경기 침체 여파로 판매량이 줄자 일시적 감산을 하기로 결정했다. 극심한 노사갈등이 발생했던 2009년 이후 첫 가동 중단(셧다운)이다.
한국GM과 르노삼성자동차는 이미 셧다운을 경험했다. 한국GM은 지난해 전북 군산공장을 폐쇄했다. 이 공장에서 생산하던 차량이 워낙 안 팔렸기 때문이다. 부평2공장은 지난해 말부터 1교대제로 운영되고 있다. 역시 판매 부진 탓이다. 르노삼성은 올해 노조 파업으로 공장 문을 여러 차례 닫았다.
(한국경제 7월 3일 내용 일부)
소견)한국GM과 쌍용차, 르노삼성의 위기는 부품사 생태계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이들 3개사와 거래하는 1차 협력사만 500개가 넘고 2~3차 협력사 수는 훨씬 많다”고 설명했다. 이들 3개 완성차 업체와 협력사가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서면 공장이 있는 경기 평택과 인천 부평, 경남 창원, 부산 등지에서 ‘실업대란’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어 매우 걱정이다.자동차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 19%라 보통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