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현대차 영업익 2900억원 ‘충격’…美리콜비용에 판매부진까지

이남은 2018. 10. 29. 00:30

*현대차 영업익 2900억원 ‘충격’…美리콜비용에 판매부진까지


현대자동차가 국제회계기준(IFRS)이 도입된 2010년 이후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2889억원으로 사상 처음 3000억원을 밑돌았다. 시장 전망치인 7000억∼8000억원 수준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어닝 쇼크를 넘어 충격적인 실적이다.

현대차는 올해 3분기 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 24조4337억원, 영업이익 2889억원, 당기순익 3060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3분기 대비 소폭(1%) 확대됐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무려 76%, 67.4% 감소했다.

매출 확대에도 영업이익이 급감한 것은 그만큼 수익성이 악화됐다는 의미다. 주력 해외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의 판매부진이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다. 

올해 9월 누계 기준 중국 판매는 56만1152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7% 확대됐지만 평년 수준에는 크게 못 미쳤다. 미국에서는 제네시스 판매량이 500대 밑으로 떨어지며 고급화 전략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신흥국 시장에서 생산된 차량은 현지통화를 받고 판매한다. 현지통화 가치가 하락하면 국제통화인 달러로 결산한 수익성은 악화된다. 이를 원화약세분이 상쇄하지 못하면 결국 채산성 하락으로 이어지는데 원화강세까지 겹치며 수익성이 악화됐다.

비용지출도 상당했다. 올해 초 미국에서 에어백 컨트롤 유닛 결함에 따른 쏘나타 15만5000여대 등을 리콜 조치하며 1000억원가량의 판매보증비용이 발생했다. 엔진결함을 방지하는 모니터링 시스템(KSDS) 장착 등 무상점검을 리콜 관련 지출 비용만 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더한 현대차의 3분기 비용 지출금은 3조40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했다.

비우호적인 환율여건과 판매보증비용 증가는 매출원가율 확대로 이어졌다. 3분기 기준 현대차의 매출원가율은 84.9%로 전년 동기에 비해 2.8% 확대됐다. 영업이익률은 같은 기간 3.8%포인트 떨어진 1.2%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원가절감 노력에도 매출원가율 확대에 따른 채산성 악화를 방어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동아일보 10월 26일 내용 일부)

소견)경쟁력있는 신차와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확대로 수익성 확대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전사적인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리콜 제로 등 내실경영을 더욱 강화해 현재의 어려운 상황을 적극 돌파해나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