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가 중소·중견 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앞당기고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연중 수시로 신청을 받고 있는데 예년에 비해 60%가량 늘어났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언택트) 열풍’의 영향이 크다. 제조실행시스템(MES)을 적용해 공장 설비를 자동화하거나 인공지능(AI)·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생산을 지능화하면 인력 투입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상당수 대기업들은 이전부터 스마트공장을 구축해 놨지만 그렇지 않았던 중소기업들은 코로나19를 계기로 노후 시스템 교체에 나섰다.

더군다나 코로나19를 계기로 정부가 강조하는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도 스마트공장 구축에 영향을 주고 있다. 중국이나 동남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국내 인건비를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아끼려는 시도가 나오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제각기 거금의 스마트공장 지원금을 내걸며 공장 유치에 나서고 있다. 정부는 전국 중소·중견 기업의 스마트공장을 2022년까지 3만개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서울신문 6월 16일 내용 일부)

소견)‘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도 스마트공장 구축에 영향을 주고 있다. 중국이나 동남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국내 인건비를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아끼려는 시도가 나오고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됩니다.

by 이남은 2020. 6. 23. 00:2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