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20년간 중국에서 모은 돈을 한국에 돌아와 모두 날렸습니다.”
5일 세종시 소정면 세종첨단산업단지에서 만난 민덕현 거성콤프레샤 사장(사진)은 “유턴기업을 적극 지원한다고 해서 한국에 들어왔지만 사업 시작도 제대로 못 한 채 수십억원의 빚더미에 앉게 됐다”고 토로했다.
중국 칭다오에서 공기압축기(에어컴프레서) 제조 공장을 운영하던 민 사장은 2015년 6월 세종시와 ‘유턴기업 지원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정부기관과 세종시는 근로자 1인당 1050만원의 고용보조금 지급을 비롯해 입지보조금 40%, 설비투자 보조금 24% 지원 등을 당근으로 내걸었다. 이로부터 5년 뒤 회사는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다. 민 사장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약속한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해 자금계획이 꼬여버린 게 사업 실패의 주원인”이라고 말했다.
그는 MOU를 체결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국내 복귀 결정을 후회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세종시가 투자 보조금 지원 조건으로 국내 사업 이력과 담보물이 없는 민 사장에게 보증보험증권을 제출하라고 요구하면서다. 그는 보증료 1억6000만원과 예치금 3억5000만원 등 약 5억원을 급히 빌려야 했다.
민 사장은 62억원을 들여 2017년 7월 공장을 준공했다. 준공 후 바로 고용보조금을 신청했지만 뜻밖에 ‘지급 거절’을 당했다. 유턴 MOU를 체결하고 석 달 안에 40명을 고용하는 것을 전제로 보조금 지급을 약속했는데 기한이 지났다는 이유였다.
(한국경제 6월 6일 내용 일부)
소견)민덕현 거성콤프레샤 사장은 “유턴기업을 적극 지원한다고 해서 한국에 들어왔지만 사업 시작도 제대로 못 한 채 수십억원의 빚더미에 앉게 됐다”고 토로했다.스마트팩토리로 글로벌 제조경쟁력을 갖추는 게 우선입니다.그리고 유턴기업을 유치하는 데만 급급하지 말고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돌봐야합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공장 발빠른 전환 나사못 회사, 중국 추격 따돌려 (1) | 2020.06.17 |
---|---|
‘유턴’ 대기업 1곳뿐… “연간 세수만 170억인데 지원은 0” (1) | 2020.06.12 |
문 닫은 공장들 속속 경매로…가격 낮춰도 사는 사람이 없다 (1) | 2020.06.03 |
코로나發 리쇼어링? "글로벌화는 계속" (1) | 2020.06.02 |
토요타, 불매운동에도 서비스센터 확충·직원교육...고객제일주의 집중 (1) | 2020.05.31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