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라는 게 있다. '혼돈이론'에서 초기값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는 현상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나비효과는 특정 부분의 작은 일이 예상하지 못한 분야까지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효과를 말한다. 예를 들자면 공장 하나가 들어서 200명의 직원을 채용하면 5만명에게 경제적 파급효과를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4인 가족 기준 800명, 인근 10인 근로자 기준 협력업체가 10개 정도 된다면 가족까지 400명이 추가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얻게 된다. 1천200명(800명+400명)이 지역 시장의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를 하게 되므로 간접적 파급효과는 4만8천명(1천200명×4개분야×간접파급 10명)이다.
그러나 이런 셈법은 고리타분한 옛말이 되어 버렸다. 노동자의 인권이 향상되고 삶의 질을 추구하면서 노동자의 요구는 올라가고 기업은 생산성 향상 압박을 받게 된다. 생산성 향상은 3단계에 걸쳐 발생하였다. 1단계는 '노동 생산성' 향상 단계이다. 교육이나 동기부여 등을 통하여 일하는 방식과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방식이다. 2단계는 '자동화' 단계이다. 반복적인 업무에서 사람을 배제 시키고 기계가 대신한다. 정보처리시스템이나 자원관리시스템(ERP) 등을 도입하고 제조업은 로봇이나 자동제어 시스템을 설치한다. 3단계는 '지능화' 단계이다. 자동화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분석하고 환류(피드백)하여 고수준 영역까지 ICT 기술로 극복하는 단계이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이 접목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
'지능화'를 중심으로 하는 생산성 향상 3단계에서는 단연코 고전적 고용창출 효과가 없다. 반도체 공장이 들어온다고 수백 명이 채용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화에 기반한 지능시스템이 도입되고, 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제 인원과 시스템 유지보수를 위한 엔지니어들이 채용된다는 의미이다. 글로벌 대형 물류창고를 지역에 유치한다고 일자리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로봇 기반 자동화 장치와 이를 통제·분석하는 시스템이 도입되는 것이다. 고속도로 요금징수, 터미널 매표원, 중소업종 매장 노동자들은 이미 정보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고, 그 속도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부매일 5월 29일 내용 일부)
소견)생산성 1단계는 '노동 생산성' 향상 단계이다. 교육이나 동기부여 등을 통하여 일하는 방식과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공정합리화)하는 방식이다. 2단계는 '자동화' 단계이다. 반복적인 업무에서 사람을 배제 시키고 기계가 대신한다. 정보처리시스템이나 자원관리시스템(ERP) 등을 도입하고 제조업은 로봇이나 자동제어 시스템을 설치한다. 3단계는 '지능화' 단계이다. 자동화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분석하고 환류(피드백)하여 고수준 영역까지 ICT 기술로 극복하는 단계이다.
'간이 자동화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 없는 경제’의 탈출구, 제조 혁신이 해법이다 (1) | 2019.07.21 |
---|---|
기계의 반란 - 현대의 자동화가 과거의 자동화와 다른 이유 (1) | 2019.07.09 |
AI가 크레인을 움직인다… 로테르담 항구, 無人혁명 (1) | 2019.04.06 |
RPA 는 정말 미래의 기술인가 아니면 신조어에 불과한 것인가? (1) | 2019.04.05 |
최저임금 인상의 두 얼굴, 공장 자동화에 울고 웃는 중소기업들 (1) | 2018.08.23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