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오래전 미국 플로리다 남단의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다리 공사가 한창일 때다. 숙련된 많은 수중 용접사가 필요했다. 그런데 용접을 잘하는 사람은 수중 다이빙 능력이 없었다. 수중 다이버 대다수는 용접을 하지 못했다. 과연 용접사에게 다이빙 훈련을 시키는 게 좋을까. 반대로 다이버에게 용접 기술을 익히게 하는 게 나을까. 결론은 독자의 상상에 맡긴다.
정부나 기업은 늘 ‘현재 잘하고 있는 일에 집중할 것인가’ 또는 ‘신사업에 도전할 것인가’를 놓고 고민한다. 세계적인 우량기업이었던 코닥은 자신들이 개발한 디지털카메라보다 당장 돈을 많이 벌어주는 필름사업에 집중하다 도산했다. 반대로 무리하게 ‘신성장 동력’만 부르짖다가 망한 기업도 상당수다. 수많은 변수 가운데 우선순위를 잘 결정하는 것이 훌륭한 리더다.
개인 역량 개발도 마찬가지다. 한정된 시간에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일부는 강점을 더 크게 살리려고 한다. 약점과 강점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융합적으로 생각해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는 방법은 없을까. 우리나라의 대표 산업인 제조업과 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인 인공지능·빅데이터를 예로 살펴보자.
데이터는 21세기의 ‘원유’라고 불린다. 데이터 분석은 미래 핵심 기술 중 하나다. 전문가들도 ‘데이터 3법’ 국회 통과를 계기로 ‘데이터 경제시대’ 개막과 함께 새로운 비지니스 창출을 기대한다. 우리가 잘하고 있는 산업과 데이터를 결합하면 훨씬 더 큰 국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대한민국은 제조업이 국민총생산 (GDP)의 30%를 차지한다. 부산 울산 경남에 기반을 둔 조선·석유화학과 반도체 부문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제조업에 데이터 분석이나 인공지능을 덧입히면(융합)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지 않을까.
(국제신문 3월 23일 내용 일부)
소견)한정된 시간에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일부는 강점을 더 크게 살리려고 한다. 약점과 강점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융합적으로 생각해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는 방법은 없을까. 궁하면 통한다고 늘 고민해야 합니다.
'저비용 고효율 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企 혁신성장,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달려 (1) | 2020.04.18 |
---|---|
25년 로봇 전문가 이재영 현대로보틱스 상무 “로봇으로 비용 30% 절감 이뤄” (1) | 2020.04.03 |
‘김치 1호 명장기업’도 반한 스마트공정 (1) | 2020.03.25 |
[스마트팩토리 해답 A to Z] 성과는 Logic에서 나온다 (1) | 2020.03.23 |
코로나19로 다시 주목받는 스마트공장 (1) | 2020.03.20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