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주택 소형화가 가속화하고 있다. 1인 가구가 증가하는데다 도시 인구밀도가 높아지면서 땅값이 크게 오른 탓이다. 전 세계에서 매주 150만명이 도시로 몰려들고 있다고 한다. 집이 작아지다 보니 침대, 책상, 식탁 등 필요 최소한의 가구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스웨덴의 다국적 가구업체 이케아(IKEA)가 이런 사람들을 겨냥해, 종이접기를 하듯 여러 형태로 변신할 수 있는 로봇형 가구를 선보였다. 미국의 한 스타트업과 합작해 개발한 이 로봇가구는 2020년 소형 주택이 많은 일본과 홍콩을 시작으로 전세계 매장에서 시판될 예정이다.

이케아는 "도시에서 사는 사람들이 가정에서 부닥치는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공간과 물건을 둘 곳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제품 개발 배경을 밝혔다. 이케아는 이를 위해 MIT 출신이 설립한 오리(Ori)와 협력해, 모터로 작동하는 변신형 가구를 설계했다. 오리는 종이접기를 뜻하는 일본어 오리가미의 준말이다.로그난(ROGNAN, 노르웨이어로 작은 마을이란 뜻)이라는 이름의 이 가구는 오리의 로봇 플랫폼과 이케아의 모듈식 수납박스 플랏사(PLATSA)를 결합한 것이다.터치 패드를 누르면 가구가 접었다 펼쳐지고 이동도 가능해 집안 공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 동영상을 보면 침대, 옷장, 소파, 책상 등의 기능을 서로 전환해 가며 쓸 수 있다. 이케아는 최대 8㎡의 공간을 덤으로 얻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가구를 더 작게 만드는 대신 그때그때 필요한 기능만 할 수 있도록 가구를 변형시켜 쓰는 방식이다. 예컨대 잠잘 때는 소파 기능을 치우고, 옷장이나 책상을 사용할 때는 침대를 접어둔다.이케아의 다른 가구들과 마찬가지로 이 로봇가구 역시 소비자가 직접 완성하는 DIY 가구다. 침대, 소파, 테이블, 선반, 저장박스 등 20여개 부품들로 이뤄져 있다.

(미래&과학 6월 14일자)

소견) 침대, 책상,소파,옷장으로 쓸 수 있는 변신형 로봇가구,앞으로 수년 안에 협소한 집안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 해법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집안 공간이 좁아 애태우는 소비자들의 잠재 수요를 끌어낼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by 이남은 2019. 6. 19. 0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