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교토의 400년 된 사찰 고다이지(高台寺)에서는 로봇 승려 '마인더'(Mindar)가 부처의 가르침을 전한다. 사찰에 승려가 부족해지자 로봇 승려까지 등장한 것이다.
9일(현지시간) 미 매체 복스에 따르면 이 사찰의 주지 스님 고토 텐쇼는 "인공지능(AI)으로 가장 어려운 문제도 극복하는 지혜가 커지길 바란다"며 "불교가 바뀌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 예로 신자 한 명이 실직한 후 돈벌이를 위해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일을 해야 한다고 가정할 때 AI 성직자는 가치 판단에 혼란을 겪을 수도 있다. 복스는 "AI 성직자는 알고리즘에 내장된 격언 중 하나인 '모든 시도에는 배움과 이익이 따른다. 단지 고민만 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조언할지 모른다"고 전했다.

이러한 우려와 달리 AI 성직자가 인간이 할 수 없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도 있다. 미국 빌라노바대학교의 종교학자 일리아 델리오 박사는 "로봇은 인간이 가진 편견이 없다. 그것은 종교계의 분열을 초월해 더 자유로운 방법으로 공동체를 강화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는 모든 것을 이분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종교에서 로봇과 인간은 경쟁자가 아니라 서로에게 부족한 것을 제공하는 협력자로 작용할 것"이라고 봤다.

일본 고다이지의 주지 스님 고토 텐쇼 역시 AI 성직자에 긍정적이었다. 그는 "불교는 신을 믿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다. 그것은 기계로 표현되든지 고철덩어리로 표현되든지 나무로 나타나든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AI 성직자가 젊은 사람들과 불교를 이어줄 재밌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불교의 목표은 고통을 완화하는 것이다. AI 승려가 상처받은 인간의 마음과 감정을 어루만져주길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머니투데이 9월 12일 내용 일부)

소견)사찰에 승려가 부족해지자 로봇 승려까지 등장한 것인데 목회자는 안부족하나? 철학적 문제 다루는 종교영역까지 AI 침투… 인간과 협력적 관계 유지할 수 있을까 향후 기대됩니다.

by 이남은 2019. 9. 15. 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