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왜 우리는 여전히 바쁠까. 자동화와 전산화 덕분에 사람이 할 일이 확 줄었는데 말이다. 20일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한국외국어대 ‘코레아노폰 연구센터’에서 만난 ‘24시간 시대의 탄생’ 저자 김학선은 “시간 자원이 공평하게 배분돼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답을 내놨다. 현재 그는 한국학을 연구하는 이 센터 소속 연구자다.
자신의 저서에서 1982년 야간통행금지제도(통금) 폐지 이후 정치ㆍ경제ㆍ문화적 자원으로서 시간이 어떻게 개발되고 활용됐는지 분석한 그는 이렇게 설명한다. 40년 전에는 노동자 1명이 일을 끝내는 데 1시간이 걸렸지만, 생산성 향상 덕에 지금은 30분이면 충분한 업무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시간을 더 줄여 이걸 10분 만에 해내는 능력자가 존재할 수 있다. 지금 그의 1시간은 40년 전으로 치면 6시간으로 늘어난 셈이다. 하지만 이런 성과가 개인 능력만으로 가능한 경우는 드물다. 기계를 쓰거나 돈으로 인력을 구매한 결과인 것이다. 그는 “시간 자원도 자본에 비례한다”고 단언했다.
반면 ‘타임 푸어’는 늘 시간 부족을 호소한다. “1시간 할 일을 30분에 했으면 30분은 쉬면 되잖아요. 그런데 쉬는 사람이 있나요. 일을 더 많이 하려 하죠. 그렇다고 일한 만큼 보상이 많아지는 것도 아니에요. 그러면 내가, 우리가 아낀 시간은 어디로 갔을까요. 다른 누군가가 가져갔겠죠. 시간을 아낀 사람한테 돌아간 게 아니라면요. 제대로 시간이 분배되지 않으니 모자란 곳이 생기는 거예요.”
(한국일보 3월 23일 내용 일부)
소견)물론 갈수록 기울기가 가팔라지는 변화는 현대인 모두에게 적용되는 공통 조건이다. 속도를 높이지 않으면 승진도 없고 계속 달려도 뒤처질 수밖에 없다. 주변 환경이 더 빨리 바뀌기 때문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로 확 바뀐 중국 '新경제 산업' 투자 지형도는? (1) | 2020.04.02 |
---|---|
바디프랜드, 대한민국 브랜드가치 ‘23위’ 기록 (1) | 2020.04.01 |
무엇을 어떻게 적는지만 알아도 종잇조각이 돈으로 바뀐다 (2) | 2020.03.28 |
"ODM 강화" 승부수…'위기의 LG폰' 살릴까 (1) | 2020.03.26 |
“오늘은 뭐 먹지?”…하루 세끼 집밥메뉴 고민하는 고객 잡아라 (1) | 2020.03.24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