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LG전자가 스마트폰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조직을 강화했다. 최근 ODM 제품을 관리하는 아웃소싱 담당 조직을 ‘팀’에서 ‘실’로 확대 개편하고, 새 스마트폰 수장인 이연모 MC사업본부장(부사장) 직속으로 편입했다. 인력도 지난해에 비해 약 30% 늘렸다.
ODM 조직 강화는 19분기 연속 적자의 늪에서 탈출하기 위한 전략 가운데 하나다. 지난해엔 생산비 절감을 위해 국내 스마트폰 공장을 베트남으로 옮겼다. 마케팅 비용을 줄이기 위해 올 들어 마케팅 전략도 바꿨다. 위기에 빠진 LG전자 MC사업본부가 새로운 전략을 통해 스마트폰 사업 재건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적자 탈출 전략의 일환으로 LG전자는 올해 전체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가량(약 1500만 대)을 ODM 방식으로 생산한다. 2018년 약 10%였던 ODM 생산 비중을 지난해 30%로 늘린 데 이어 추가로 확대한다.
ODM 생산 방식을 도입하면 가성비 경쟁이 치열한 중저가 스마트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ODM 업체는 여러 제조사에서 발주한 제품 부품을 한꺼번에 구매한다. 부품을 대량으로 구매하기 때문에 제조사보다 더 싼 가격에 살 수 있다. 부품 가격이 낮아져 가성비 좋은 제품 공급이 가능해진다. LG전자는 중저가폰을 중심으로 ODM 생산 방식을 확대 도입함으로써 원가 구조를 효율화해 적자폭을 줄일 계획이다. 이렇게 아낀 비용과 인력을 프리미엄 제품 개발에 투입해 프리미엄 제품과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한국경제 3월 23일 내용 일부)
소견)LG전자 스마트폰 사업부는 ODM 비중을 늘려 손익 구조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재료비를 줄이는 것보다 스마트폰의 부품수,제조공정수 줄이는 것이 더 큰 효과를 내는 지름길이며 이것이 생산기술의 기본입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못 쉬고 아낀 시간, 가져가는 사람은 따로 있다” (1) | 2020.03.29 |
---|---|
무엇을 어떻게 적는지만 알아도 종잇조각이 돈으로 바뀐다 (2) | 2020.03.28 |
“오늘은 뭐 먹지?”…하루 세끼 집밥메뉴 고민하는 고객 잡아라 (1) | 2020.03.24 |
"만들어도 팔 곳이 없다"...재고 부담에 떨고 있는 中企 (1) | 2020.03.19 |
"기계·용접공업 매출 절반 줄어…내달엔 문 닫아야할판" (1) | 2020.03.18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