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5G 이동통신이 탑재된 로봇 팔이 물건을 집어 무인운반차(AGV)에 싣는다. AGV는 공장 안을 자율적으로 다니면서 사람이 감지되면 동작을 멈춘다. `단일품목-대량생산` 시스템이 사라지고 고객 맞춤형 다품종 소량생산의 유연 생산 시스템이다. 이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독일 하노버 산업박람회(MESSE)에 참가한 보쉬-렉스로스 부스의 한 장면이다.
# 공압기기 전문기업 훼스토는 제조 공정별 다양한 스마트 솔루션을 설비와 함께 소개했다. 특히 인공지능(AI)이 탑재된 팔은 관람객과 자연스럽게 악수한다. 팔과 손가락 관절의 움직임과 악수하는 손의 악력, 느낌을 인식하고 함께 반응한다. 로봇과 사람 협업 로봇의 현주소다.
"독일은 미·중 무역분쟁을 보면서 자국 제조업의 미래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스마트공장이 고도화 단계를 넘어 어떤 단계로 갈지 논의가 대단히 활발하더군요."
최철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사진)은 지난 4월 독일 첨단 스마트공장 트렌드를 견학하고 온 소감을 이렇게 말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국내 스마트공장 확산·보급 사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다. 제조업 강국인 독일은 스마트공장 분야에서는 SAP, 지멘스, 보쉬, 훼스토 등 대기업이 글로벌 솔루션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독일 내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전 세계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이 독일 솔루션 기술을 받아들이고 있다.
(매일경제 6월 7일 내용 일부)
소견)독일은 솔루션 기업이 빅데이터 분석까지 해주지만,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국내 중소기업은 수집된 데이터 활용 방법을 잘 모른다며 중소기업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제조 빅데이터센터`를 국가 차원에서 구축해 운영하면 좋지 않겠습니까?
'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디프랜드, 日 파나소닉 제치고 안마의자 글로벌 1위 '우뚝' (1) | 2019.06.15 |
---|---|
장상욱 JNT그룹 회장, 설비 자동화에 꽂혀 '기계의 神'이 된 사나이 (1) | 2019.06.14 |
현장경험이 최고의 경쟁력 (1) | 2019.06.09 |
"로꾸거" 발상을 뒤집어라 (1) | 2019.06.07 |
韓 스마트 제조는 아직 초기..."제조업 경쟁력 높일 전략 필요" (1) | 2019.06.06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