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기업이자 국내 1호 상장사인 국내 대표 섬유 업체 경방의 탈(脫) 코리아가 본격화하고 있다. 용인과 광주공장이 생산을 중단하고 설비를 베트남 공장으로 이전한 데 이어 이번에는 용인공장 매각도 끝냈다. 영등포 타임스퀘어 등 쇼핑몰 운영 등으로 수익을 내고 있는 경방이 공장 부지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새로운 도약에 나설지 주목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경방은 16일 물류 단지 및 물류센터 개발과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을 하는 ㈜딩동에 용인공장 부동산을 1,550억원에 매각했다. 이에 따라 국내에 보유하고 있던 3개의 공장(반월·광주·용인) 중 반월공장을 제외한 나머지 2개의 공장을 팔았다. 용인과 광주공장은 면방 중에서 생사를 만들던 곳이었는데 두 공장이 생산을 중단하고 공장을 처분하면서 국내에서는 생사를 만들지 않는다. 대신 반월공장에서 가공사만 생산한다. 

경방은 일제강점기에 ‘우리 옷감은 우리 손으로’라는 창업이념으로 1919년 경성방직으로 출범했다. 1956년 우리나라 증권거래소가 설립될 때 1호로 상장도 했다. 용인·반월·광주에 공장을 짓고 사세확장과 경영 다변화를 통해 1987년에는 총매출액 1,000억원 돌파, 수출 1억달러 돌파, 당기순이익 127억원 달성 등의 금자탑을 쌓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노동집약 산업인 섬유 산업이 인건비 등의 증가로 2000년대 들어 경쟁력이 떨어졌다. 2013년부터 베트남에 공장을 짓고 제품을 생산해왔고 2017년 광주공장의 베트남 이전을 결정했다. 올해 10월에는 용인과 광주공장 생산을 중단했다.

(서울경제 12월 17일 내용 일부)

소견)산업 구조의 변화 영향도 있지만 100년 제조업이 국내에서 영업하기 힘든 각종 규제와 경직된 노동시장 환경을 반영한 것 같아 매우 씁쓸하며 100년 기업 경방처럼 탈 코리아하는 것이 더이상 없기를 기원해봅니다.

 

 

by 이남은 2019. 12. 20. 0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