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로봇이 접수하는 ‘세계의 공장’ 중국...생산성 효율 극대화
생산라인에 로봇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며 이익과 생산성을 극대화한
대표적인 기업은 바로 창잉 정밀기술이다. 이 기업은 공장 내 거의
모든 조립라인에 로봇을 투입시켜 생산라인을 자동화시켰다.
로봇의 팔들이 휴대폰의 부품을 생산하기도 하지만 공장은 또 기계
장비의 자동화, 자율화 수송차량 그리고 창고 내 자동화 장비 등도
실현시키며 긍정적인 효과를 얻고 있다.
로봇이 생산해내는 결과물의 질과 양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생산량은 기존보다 3배 가량 늘어나며 한 사람당 8000개의
부품들을 생산했던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2만 1000개 가량의
부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인간의 노동력이 없어도 품질은 더 개선됐다. 기존의 제품 불량율은
25% 대였지만 현재는 5% 이하로 떨어졌다.
창잉 정밀기술과 같이 로봇을 투입하는 중국의 공장들은 실제로
여럿 존재한다. 같은 지역내 위치한 쉔젠 이븐윈 정밀기술도 지난
5월 이와 비슷한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으며,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생산업체로 유명한 폭스콘은 이미 지난 2011년 로봇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아시아투데이 8월11일 내용 일부)
소견)중국 제조업 기업들의 이러한 로봇 투입의 움직임은 혹독한
조건에서 근무해 오던 근로자들의 근무 환경과 무관치 않다.
로봇의 공장 내 투입은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고통스런 육체적인
노동을 요구하는 근로자들이 극한 환경에서 벗어나도록 해주지만
결국 인건비 상승에 따른 투자입니다
'생인화(인력 감소) 실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화의 역설 (1) | 2016.08.13 |
---|---|
글로벌 로봇 시장 2020년 70조원 (1) | 2015.08.23 |
일본의 신성장전략, 로봇과 IT 활용에 주력 (1) | 2015.07.05 |
"힘 쓰는 일 대부분 기계로 대체되면서 창의적인 여성 능력이 재평가받게 됐다" (1) | 2015.06.01 |
산업자동화가 저성장시대에 제조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 (0) | 2014.12.05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