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스마트공장 구축및 추진실무과정 1일차 교육
장소: 안산 중소기업연수원
강사: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 이정철 팀장
[스마트공장 개요및 수준진단] 내용 요약
제조환경의변화: 인더스트리4.0 독일에서 제기한 미래생산성 혁명(하노버메세)
IOT/개인납품방식, 테슬러가 2017년 자율주행차출시예정,자동차 기계아니라SW.
미래공장의 10대 도전과제: 시스템통합(수주~출하),시뮬레이션&시각화,증강현실등
스마트공장은 아직 개념과 기술이 확실히 정립되지 않은 미래의공장에 대한
비전의 의미가 강함.
ERP는 돈 투명관리,스마트공장은 공장 투명관리차원.공장장이나 관리자는 싫어함.
4차산업혁명이 제조현장에 가져올 변화: 빅테이터,로봇,셀프드라이빙,시뮬레이션 등
스마트공장은 대량생산에서 맞춤형 생산방식으로 변함(PP시대)
스마트공장정의:제품의기획 설계,생산,유통 판매 등 전 생산과정에 ICT기술을 접목
하여 최소비용과 시간으로 고객맟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진화된 형태의 공장.
스마트공장 수준진단:1수준(점검),2수준(모니터링),3수준(제어),4수준(최적화)
5수준(자율운영)--대부분이1과2수준사이
강사:산자부 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 송병준 박사
[스마트공장 정보시스템 구축] 내용 요약
독일이 2020년후 위기의식을 느껴 4차산업을 들고나옴.
스마트공장이 되기위한 3대키워드: 디지털, 자율, 연결. 대표적기업:지멘스,테슬러
MES란 생산전반의 통합제조시스템 구축을 의미함.
설비의고장이상 테이터취득에 사용되는 센서:온도센서,변위센서,가속도센서 등
산자부 스마공장팀 대표공장선정: 동양피스톤 (정부100억지원)
스마트공장 핵심정량적 성과지표: 생산품목수증가율, 매출액증가율. 필수조건
ERP도입의 의미는 S/W를 구입하는 것이아니라 표준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것이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공장 구축및 추진실무과정 3일차 교육(최종) (1) | 2016.12.23 |
---|---|
스마트공장 구축및 추진실무과정 2일차 교육 (1) | 2016.12.22 |
조성진·윤부근 내년 ‘사물인터넷 혈투’ 예고 (1) | 2016.12.18 |
황창규KT 회장, "사물인터넷 차별화 전략은 헬스케어" (1) | 2016.12.14 |
하늘 나는 스릴, 필드의 쾌감 눈앞에… 현실이 되는 VR (1) | 2016.12.10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