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생산속도에서는 성공했다. 그러나 대량생산까지는 아직 시기상조다."
글로벌 스포츠 시장을 이끌고 있는 아디다스가 4년에 걸친 `스피드팩토리` 생산성 향상실험에 결국 실패했다. 노동집약적 신발 생산 방식을 바꾸고자 로보틱스·머신러닝·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총망라한 스피드팩토리를 구축했다가 4년 만에 공장 중단을 결정한 것이다.아디다스는 가동 중단 이유에 대해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고 있지만, 시장은 3D 프린팅 기반의 제작 방식에서 실패의 원인을 찾고 있다. 한 해 수억 개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 대량생산 방식에서 아직까지는 첨단 프린팅 기술이 `사람의 손`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생산성 혁신을 위한 아디다스의 과감한 도전과 개방형 협업 노력은 평가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아디다스그룹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독일 안스바흐와 미국 애틀랜타의 스피드팩토리 가동을 내년 4월 중단한다"며 "스피드팩토리 기술을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 공장 두 곳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아디다스 측은 "우리 제품의 90% 이상이 아시아에서 제조되고 있어 공급업체와 노하우 등이 모인 곳에 생산을 집중하는 것이 더 이치에 맞는다"고 추가 설명했다.
3D 프린팅으로 신발 밑창을 만드는 오에츨러의 정밀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제한된 규모의 3D 프린터 설비에서 `정밀공정`과 `대량생산`이라는 상충적 목표를 실현하기에는 아직도 기술적 한계가 많다는 지적이다. 단적으로 지난해 아디다스가 생산한 4억켤레 중 절반을 스피드팩토리에서 감당하려면 3D 프린팅을 통한 생산역량이 지금보다 무려 200배나 향상돼야 한다.
글로벌 기업들에 스마트팩토리 운영 솔루션을 제공하는 한 기업 관계자는 "아디다스가 비록 스마트공장 문을 닫지만 과감한 도전정신과 지난 4년의 공장 운영을 통해 얻은 방대한 데이터는 제2의 도전을 준비하는 자산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매일경제 11월 13일 내용 일부)
소견)3D프린터가 수작업 못따라가 신발 年4억개 중 100만개만 담당했고 속도가 빨라져 대량생산을 못해 중국·베트남으로 공장 이전한다고 합니다. 왜? 3D프린터의 속도 개선하면 가능하지 않겠습니까?
'저비용 고효율 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미경으로 보는 '스마트팩토리' (1) | 2019.11.19 |
---|---|
자동화 100% '스마트 팩토리' 실패? (1) | 2019.11.16 |
“AI, 단순 일자리 대신할 것… 인간은 창조적 업무로 이동” (1) | 2019.11.03 |
포드, 조립공장에 협업로봇 투입 (1) | 2019.11.01 |
생산↑ 불량↓, 제조업도 로봇이 ‘대세’ (1) | 2019.10.26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