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약세의 영향으로 한일 기업 간의 생산 방식에도 변화


엔화 약세의 영향으로 한일 기업 간의 생산 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잇따라 해외에 생산기지를 짓는 

데 비해 일본 업체들은 자국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5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파나소닉은 우선 중국에서 만들고 

있는 종형 세탁기(입구가 위에 있는 세탁기)를 시즈오카(靜岡) 

현 후쿠로이(袋井) 시 공장에서 생산할 계획이다. 이어 전량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가정용 전자레인지는 고베(神戶) 시에서, 

마찬가지로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는 가정용 에어컨은 시가(滋賀) 

현의 구사쓰(草津) 시에서 생산할 계획이다.
파나소닉은 일본 내의 유휴 시설을 활용해 신규 투자를 최소화하는

 한편으로 부품 회사들에도 국내 유턴을 요구하고 있다.

 일부 생산라인이 일본으로 이전하더라도 중국 현지 판매용 제품은

 중국 공장에서 계속 생산된다. 파나소닉 가전제품의 일본 내 판매

액은 5000억 엔 전후로 이 가운데 약 40%를 해외에서 생산하고 있다. 
파나소닉이 생산 거점을 일본으로 유턴하는 것은 엔화 가치가 크게 

떨어진 데다 해외 인건비 상승으로 다른 나라에서의 생산 이점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파나소닉은 엔화 가치가 달러당 1엔 떨어지면 

가전제품 이익이 연간 18억 엔 감소한다. 특히 엔화 가치가 달러당

 120엔대로 떨어지면 비용을 절감해도 큰 폭의 수익 감소가 불가피

하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일본 제조업은 그동안 엔화 강세와 인건비 절감 등을 위해 생산 

거점을 해외로 이전해 왔으나 2013년 엔화 가치가 달러당 100엔대로 

떨어진 이후로 일부 기업이 유턴 움직임을 보여 왔다. 

(동아닷컴 1월6일 내용 일부)

소견) 수출 대기업들은 해외 생산 비중 확대 등으로 대비책을 세워

나가고 있지만 중소기업들은 ‘엔저 쓰나미’의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국가차원에서 중소기업 보호할 방법은 없는지? 

해외 인건비 상승에 대한 해외생산 거점에 대한 장기적 대책은

무엇는지? 재고할 때입니다






by 이남은 2015. 1. 12. 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