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국내 중소제조업체들이 물건의 제값을 받지 못하고 판매하고 있어, 지속적인 원가상승 압박에 힘에 부쳐하고 있다.대부분의 업체들이 납품 단가 현실화가 절실하다고 요구하고 있지만, 시장은 날로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원가반영이 필요하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 제도 도입 등 중소기업 생산현장의 현실과는 동떨어진 정책이 밀어붙이듯이 추진되고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 인상 등 공급원가에 직접 영향을 주종 품목의 원가가 높아지면서 이중고에 빠졌다.한 업계 대표는 품목별로 다르겠지만, 개폐기의 경우 평균 10% 정도 단가 상승이 필요하며 실예가 기준으로 자재비가 약 85%에 달하는 현 구조에선 기업들이 이익을 내기가 굉장히 어렵다고 토로했다.
때문에 리스크에 민감해 질 수밖에 없으며 인력감축, 원가절감 노력 등 기업이 할 수 있는 선택지도 점점 말라가는 모양새다. 더구나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중국산 원자재 수입이 차질을 빚고 있는 제조업체들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국산이나 대만산 등으로 대체하고 있다.최근 중소기업중앙회가 수·위탁거래 중소제조업체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에서 2018년 대비 2019년 재료비, 노무비 등 평균 공급원가 상승률은 6.6%로 나타났다.
공급원가가 상승했다고 응답한 업체는 48.6%였으나 10곳 중 6곳(59.7%)은 상승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중소기업이 생산원가를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는 것은 우리 사회가 구조적으로 치열한 경쟁사회로 변화한 것도 있지만, 경쟁을 악용해 가격을 후려치려는 구매자의 의도된 정책 때문일 수 있다. 때문에 공공부문 에서라도 적정적원 적정마진을 보자하는 구매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전기신문 2020년 3월13일자)
소견) 실예가 기준으로 자재비가 약 85%에 달하는 현 구조에선 기업들이 이익을 내기가 굉장히 어렵다.한가지 대책이 인력감축, 원가절감 등을 하려면 제조공정수(검사공정포함)을 줄이거나 없애는 방법이 유일한 답안이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들어도 팔 곳이 없다"...재고 부담에 떨고 있는 中企 (1) | 2020.03.19 |
---|---|
"기계·용접공업 매출 절반 줄어…내달엔 문 닫아야할판" (1) | 2020.03.18 |
왜 청년들은 중소기업에서 일하려고 하지 않는걸까 (1) | 2020.03.15 |
스마트폰 노트 때문에 몰락한 진짜 노트, ㎜로 부활 (1) | 2020.03.13 |
63년차 여성이발사 이덕훈 "정주영, 김두한 머리에도 가위 대봤지" (1) | 2020.03.12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