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에 맞짱 뜬 박리다매의 전설


“기업이 이윤만 추구하면 기업의 규율이 무너지고 탐욕만 남는다. 고객이 떠나고 기업은 낙오하게 된다.”글로벌 유통업체 코스트코의 창립자인 짐 시네갈의 말은 기업의 최대목표는 이윤추구라는 말과 배치된다.

하지만 코스트코의 수익률을 보면 어리둥절하다. 전 세계 유통업체 중 미국 월마트에 이어 세계 2위인 데다, 지난해 기준 한국 유통업체 상위 200개 기업의 매출 총액(128조4,000억원)도 코스트코(137조8,000억원)에 미치지 못할 정도다. “마진율을 최소로 유지하는 게 핵심”이라는 시네갈의 경영철학이 글로벌 불황 속에서도 코스트코를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한 비결이다. 한국에서도 2006년 월마트와 까르푸가 한국에서 철수할 때도 코스트코만은 굳건히 자리를 지켰다.

미국 월가는 “코스트코가 마진율을 높이고 직원들의 임금을 줄이는 등 더 쥐어짰다면 이익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충고하지만 시네갈은 여전히 고개를 젓는다. 시네갈은 지난 2011년 최고경영자(CEO)에서 은퇴했지만 현재 고문으로 코스트코에 대한 자신의 경영철학을 지켜나가고 있다. 1983년 설립 첫해 연 매출 6억달러였던 코스트코는 2016년 기준 1,187억달러를 기록했다. 온라인 유통공룡인 ‘아마존’의 등장으로 대형 유통업체들의 몰락이 거듭되는 속에서도 코스트코만은 순항 중이다. 시네갈은 “누구보다 더 싸고 더 좋은 품질의 제품을 파는 게 유통사업의 기본”이라며 “여기에 좋은 사람을 고용하고, 좋은 직업과 임금 및 경력을 제공하면 사업은 저절로 성장하게 된다”고 말했다.

시네갈은 월마트와 반대의 길을 걷는 전략을 택했다. “월마트 같은 대형 할인점처럼 최대이익을 노리지 않고, 최소이익을 추구하겠다. 생활필수품과 먹거리를 파는 할인점이 이익률을 높여 배를 불리면 결국 지속 가능성 측면에선 위기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시네갈의 경영전략은 사실 프라이스의 공식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제한된 품목을 판매하고, 가격은 낮게 유지하며, 대용량을 팔고, 유료 회원제로 운영하되 개인을 비롯 소매업자들을 주요 고객으로 삼았다. 쉽게 얘기하면 이익을 적게 보는 대신 많이 파는 ‘박리다매’(薄利多賣)다.

(한국일보 5월 19일 내용 일부)

소견)소비자들에게 가장 저렴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판매가격과 원가 차이인 마진율을 15%로 제한하는 “마진율을 최소로 유지하는 게 핵심”이라는 시네갈의 경영철학이 글로벌 불황 속에서도 코스트코를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한 비결이다. 



by 이남은 2018. 5. 24.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