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화수목금토일… 4일만 일해도 생산성 안떨어졌다


비타민 유통 기업인 리오단은 올해 초 서울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격주 주 4일제' 근무를 도입했다. 덕분에 직원 윤모(43)씨도 격주로 월요일은 쉰다. 대신 거의 매달 가족 여행을 간다. 11세, 7세 아이를 데리고 올해에만 전주·평창·거제도·통영 등 전국 각지를 돌았다. 여행을 가지 않을 땐 학교에서 돌아오는 아이를 맞아준다. 윤씨는 "1박2일 주말여행을 다녀와도 다음 날 쉴 수 있어 부담이 적다"며 "주 4일제 이전과 이후의 삶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회사 관계자는 "가정이 화목해야 일에도 집중할 수 있다고 보고 제도를 도입했다"며 "직원 반응이 좋아 점차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충북 충주의 화장품 회사인 에네스티는 주 4일제를 안착시킨 대표적인 업체다. 2010년 한 여직원이 "가정과 육아를 같이하기 어려우니 하루만 더 쉬게 해 달라"고 호소한 게 시작이었다. 지금은 모든 직원이 월요일부터 목요일만 일하고, 금요일엔 당직자만 출근한다. 일하는 시간은 줄었지만, 경영 성과는 줄지 않았다. 2013년 85억원이던 매출은 작년 100억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32명이었던 직원도 50여명 수준으로 늘었다. 연봉이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고 다른 회사에서 에네스티로 이직해 오는 경우도 생겼다.

배달 앱인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2015년 월요일 출근을 오후 1시로 늦췄다. 올해 3월부턴 오후 6시 30분이던 퇴근 시간을 오후 6시로 앞당겼다. 2014년 주 40시간이던 근무시간은 현재 주 35시간으로 줄었다. 근무시간으로 보면 주 5일보다는 주 4.5일제에 가깝다.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스타트업의 특성상 책상에 오래 앉아 있다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는다"며 "전 직원 500여명에게 '시간'을 복지로 제공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숙박 앱인 여기어때를 운영하는 위드이노베이션도 지난 4월 우아한형제들과 같은 제도를 도입했다.

광고대행사 크리에이티브마스는 2014년 설립 당시부터 주 4일 출근제를 고집하고 있다. 월~목요일만 회사로 출근하고 금요일은 어디서 근무하든 직원 자유다. 크리에이티브마스 측은 "업무 강도가 센 광고 회사가 좋은 아이디어를 내려면 충분히 쉬어야 한다"고 했다.

(조선경제 11월 12일 내용 일부)

소견)IT·여행·스타트업 중심으로 주 4일제 확산되고 잡담·인터넷 서핑 사라지면서 업무 집중도 오르고 매출 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웃 일본선 기업 8%가 주 4일제로 실행한다고 하는 데 향후 어떻게 확산될찌 두고보야한다.







by 이남은 2017. 11. 15.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