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스마트화해야 살아남는다

지난 2014~2016년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받은 2800개사 중소기업 경영 상황 분석에 따르면 평균 생산성 30% 증가, 불량률 45% 감소, 원가 15% 절감은 물론 기업당 2.2명 신규 고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받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스마트공장이 된 것은 아니다. 생산 현장 디지털화 중심으로 생산된 데이터를 제대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단계가 대부분으로, 완전 자동화·지능화가 가능한 고도화 단계 스마트공장으로 가는 '첫 단추'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생산성·고용 등이 증가하고 있고 불량률과 원가 등이 감소했다는 가시 성과가 나오고 있다.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H기업은 스마트공장 구축 이전에는 작업 환경이 열악한 정밀도장 업체였다. 스마트공장 구축 후에는 수작업 처리를 자동화하고 작업 환경이 개선돼 현장 인력이 27명에서 40명으로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또 다른 중소기업은 왜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참여 했냐는 질문에 모기업으로부터 생산 제품 이력 관리가 되지 않으면 앞으로 거래가 어려울 것이라는 통보를 받고 부랴부랴 스마트공장을 추진했다고 했다.

기업 상황이 이렇게 바뀌고 있다. 공장이 스마트화되면 새로운 주문을 받아 매출과 고용이 증가해서 기업이 성장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제대로 된 거래도 어렵게 되고, 결국 도태되는 시대가 된다. 이 때문에 스마트공장은 앞으로 살아남기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다.

중소기업이 한 번에 공장을 완전히 스마트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생산 현장 디지털화부터 시작해 공정자동화와 데이터 중심 인공지능(AI) 관리에 이르기까지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전략이 필요하다. 

(전자신문 12월 4일 내용 일부)
소견)스마트공장은 분명 많은 자금과 시간, 인력이 투입되는 까닭에 우리 중소기업이 선택하기는 어려운 과제다. 그러나 이제 미룰 수 없는 기업 생존 과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이 어려운 과정을 잘 견뎌 내고, 우리 경제에 더 튼튼한 버팀목으로 자리매김합시다.그래야 200년 넘는 중견기업으로 탄생합니다.


by 이남은 2018. 12. 8.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