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세계는 ‘스마트 팩토리’ 선풍


세계적인 IT컨설팅 기업 중 하나인 캡제미니(Capgemini)가 발표한 보고서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에 따르면 세계 주요 기업들 가운데 84%가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고 있거나 앞으로 구축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팩토리’란 설계·개발, 제조·유통·물류 등 생산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지능형 생산 공장을 말한다. 자동화 기술과 함께 로봇공학,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이 대거 투입되고 있다.

‘스마트 공장’이란 독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 성장 전략 ‘인더스트리 4.0’에서 비롯된 개념이다.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양질의 상품 제작기간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독일 정부의 노력은 ‘스마트 공장’이란 개념을 탄생시켰다.

기존 생산 과정을 상징하는 것이 재고품이다. 생산자에서 도매시장으로 도매시장에서 소매지장으로, 소매시장에서 소비자에게로 상품이 이전되면서 재고품이 쌓이게 되는데 모든 기업이 이 재고품 관리 때문에 몸살을 앓아왔다.

그러나 ‘스마트 공장’을 통해 이 난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에 이르는 전 과정을 디지털로 연결함에 따라 요소 요소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실시간 파악과 함께 적정 생산·유통이 가능하다.

‘스마트 공장’의 기능을 대표하는 기능이 주문 제작이다. 온·오프라인을 통해 소비자들이 원하는 상품을 주문받아 빠른 시간 안에 그 상품을 제작·유통하게 됨에 따라 재고품 누적으로 인한 손실을 줄여나갈 수 있다.

(ScienceTimes 7월 19일 내용 일부)

소견)재고품 누적으로 골머리를 앓아오던 제조업체들 입장에서 ‘스마트 공장’ 도입을 반기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제조업체들의 또 다른 고민사항인 엔지니어 부족난 역시 ‘스마트 공장’ 설립을 반기는 이유 중 하나다.




by 이남은 2017. 7. 20.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