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파산 직전의 철강회사는 어떻게 1년 만에 2조 흑자를 냈나
지난 2월 세계 최대 철강회사인 인도 아르셀로미탈스틸(이하 아르셀로미탈)이 작년 실적을 발표하자, 세계 철강업계가 깜짝 놀랐다. 2015년 사상 최악 실적으로 파산 위기까지 직면했던 이 회사가 불과 1년 만에 극적인 반전을 보여줬기 때문이었다. 실적 발표는 아르셀로미탈의 락시미 미탈 회장이 직접 했다. 18억달러(약 2조원) 순이익을 냈다. 2015년 79억달러(약 9조원)라는 사상 최대 적자, 2012년 이후 4년 연속 적자 이후의 극적인 흑자 반전이었다. 영업이익도 크게 호전됐다. 2015년 52억달러에서 2016년에는 63억달러로 늘어났고, 철강 1t당 영업이익도 2015년 62달러에서 2016년 75달러로 증가했다.
회사를 파산 위기로 몰고 갔던 대규모 부채도 급감했다. 2015년 157억달러에 달했던 순부채는 1년간 46억달러가 감소해 111억달러를 기록했다. 영업이익 대비 순부채 비율은 2015년 3배에서 2016년에는 1.8배로 급감했다. 이에 따라 미탈 회장 재산도 급증했다. 2016년 2월 88억달러에서 2017년 2월 164억달러(약 19조원)로 거의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위기에 직면한 미탈 회장은 2016년 2월 '액션 2020플랜'이라는 5개년 위기 극복 프로젝트로 승부수를 띄웠다. 유럽·미국 사업장을 중심으로 극도의 원가절감 노력을 하고, 자동차 강판 등 고부가가치 제품에 집중한다는 것이 요지였다. 이를 통해 연간 9000만t 판매체제에서 영업이익을 30억달러 증대시키고, t당 영업이익을 61달러에서 85달러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었다. 또 현금보유액을 늘리기 위해 잉여현금흐름, 즉 사업활동에서 벌어들인 현금에서 각종 비용과 세금·설비투자액 등을 빼고 남은 현금흐름을 매년 20억달러 이상 꼭 확보한다는 것이었다.
최근 아르셀로미탈이 극적인 회복을 보이고 있는 것은 '액션 2020플랜'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방증이다. 가동률이 저조하거나 저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해 수익성이 낮은 공장들, 예를 들어 미국의 라플라세공장과 빈톤공장, 스페인의 사라고사 공장 등을 매각했다.
반면 자동차 강판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이탈리아 일바 철강회사를 사들였고, 미국의 캘버트공장은 가동률을 늘려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량을 증대시켰다. 이런 강력한 비용절감과 글로벌 제철소 운영효율성의 증대,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량 증대 조치들은 브라질과 남아공, 우크라이나 등 아르셀로미탈이 소유한 세계 60여 개의 제철소와 광산에서 과감히 추진됐다.
(조선비즈 9월 17일 내용 일부)
소견)최근의 실적 호전은 글로벌 철강가격의 회복에도 일부 기인하지만, 주된 동인은 '액션 2020플랜'으로 극도의 원가절감 노력을 하고, 자동차 강판 등 고부가가치 제품에 집중한다는 것이 흑자를 내게된 주된 요인입니다.
'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금속가공 여사장의 하소연 (1) | 2017.09.24 |
---|---|
‘실험실’ 투자는 곧 일자리 창출 (1) | 2017.09.20 |
공기 충전 필요 없는 타이어 나왔다 (1) | 2017.09.13 |
지금 회사는 적정인력인가? (1) | 2017.09.10 |
안동시 '걸어 다니는 아이디어발전소'…대구 근대문화골목 투어 (1) | 2017.09.05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