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일본 정부의 대한(對韓) 수출규제 강화 이후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업체들이 일본 외 공장에서 생산을 늘려 한국에 수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통제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있는 외국을 통해 우회 수출을 확대, 매출 감소 등을 만회하겠다는 자구책으로 풀이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불화수소 생산업체인 모리타화학공업이 올해 말부터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는 고순도 불화수소를 한국 측 요청이 있을 경우 중국 공장에서 한국에 공급할 계획이라고 9일 보도했다. 당초 삼성전자 중국 공장이나 중국 반도체 회사를 주요 고객으로 상정하고 공장을 건설했지만 일본 본사에서 한국 수출이 어려워진 만큼 우회 공급망으로 중국 공장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모리타 야스오 모리타화학공업 사장은 “앞으로 한·일 간 비슷한 문제가 일어나면 일본 대신 중국에서 한국으로 출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반도체용 포토레지스트를 생산하는 도쿄오카공업은 “최첨단 극자외선(EUV)용 포토레지스트를 이미 한국 공장에서도 생산해 한국 기업에 납품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강화로 한국에서 포토레지스트 증산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텔라케미파도 싱가포르 생산시설 규모가 일본 내 공장의 9분의 1에 불과하지만 해외공장 생산분의 한국 수출 가능성을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생산공장이 없는 쇼와덴코는 지난달 중순 경제산업성에 불화수소 수출 신청을 했지만 “아직 수출 허가가 나오지 않았다”며 발만 구르고 있다.
(한국경제 8월 10일 내용 일부)
소견)소재개발은 우리나라에서 일본에 요청하여 개발 시켰더니 이제와서 중단하면 어느나라에 소재를 팔 것이냐? 우리나라가 갑 인데도 불구하고 그것을 모른다면 결국 자기나라만 손해입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주식회사'에 눈뜬 2030, 경제권 밀당도 심해진다 (1) | 2019.08.18 |
---|---|
'심리적 IMF 위기'가 오고 있다 (1) | 2019.08.15 |
기업은 붙잡아야 하는 고객이다 (1) | 2019.08.13 |
수출 규제 확대에 숨죽인 中企 (1) | 2019.08.08 |
LG의 유쾌한 반란…'홍보 못하면 어때? 일본에 못팔면 어때? 아이디어 좋으면 가는 거야!’ (1) | 2019.07.22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