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QR코드로 물건만 산다?… 출석체크도 하고 아파트 문도 연다
22일 찾은 중국 상하이 푸둥신구의 신선식품 마트 ‘허마셴성(盒馬鮮生)’. 한국 대형마트와 비슷해 보였지만 매장엔 카트를 끄는 사람도, 점원 있는 계산대도 없었다.
모바일 간편결제가 이끈 ‘페이 혁명’이 중국인의 일상과 산업 지형을 송두리째 바꾸고 있다. 정보기술(IT)과 금융이 결합한 핀테크 혁신이 유통 혁명, 운송 혁명 등으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상하이 금융회사에 다니는 루옌 씨(33)는 지갑 없이 생활한 지가 1년째다. 지하철을 탈 때도, 노점상에서도 QR코드로 계산한다. 루 씨는 “길거리 버스킹 공연을 보고도 QR코드 결제로 성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대학생 쩡원징 씨(21)는 “학원 출석 체크나 아파트 현관 열쇠도 QR코드로 대신한다”고 했다.
‘알리페이’, ‘위챗페이’로 대표되는 중국 간편결제 시장의 성장세는 폭발적이다. 지난해 중국의 간편결제 거래액은 15조4000억 달러(약 1경7400조 원)로 비자카드, 마스터카드의 전 세계 결제금액(12조5000억 달러)을 웃돈다. 현금 결제와 신용카드 시장을 한꺼번에 넘어서는 금융 혁명이 중국에서 일어난 것이다.
2004년 알리페이를 개발한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는 6년 전 오프라인 상점에서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찍으면 고객의 은행 계좌에서 상점 계좌로 돈이 지불되는 신개념 서비스를 내놨다. 중국 최대 IT 기업 텐센트는 모바일 메신저 ‘위챗’에 식당, 병원, 택시 예약 등 일상에 필요한 온라인 서비스를 모두 담아 이를 위챗페이와 연결시켰다. 최근엔 중화권 최대 카드사인 유니온페이까지 뛰어들어 빠르게 시장을 넓히고 있다. IT 기업과 금융사들이 혁신 서비스로 경쟁하면서 중국의 새로운 결제 문화를 구축한 것이다.
여기에다 중국 정부는 불법이 아니면 새로운 서비스를 모두 허용하는 ‘네거티브 규제’로 간편결제 시장이 자생적으로 크도록 했다. 이명호 BC카드 상하이법인장은 “온전히 시장에 맡긴 중국 정부의 ‘노터치’가 알리페이 같은 강력한 사업자를 등장시켰다”고 강조했다.
(동아일보 11월30일 내용 일부)
소견)고객들은 스마트폰으로 진열된 상품의 QR코드를 찍기만 할 뿐 물건을 챙기지 않았다. 쇼핑한 물건은 스마트폰 속 장바구니에 담겼다. 쇼핑을 끝낸 뒤엔 무인계산대에서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알리페이’를 작동시켜 QR코드로 계산을 끝냈다. 이렇게 구매한 물건은 집으로 배달된다. 집이 3km 이내면 30분 안에 배송된다.中일상 바꿔놓은 ‘간편결제’이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 안경 쓰면 정보가 쫘악… 로봇이 다 알아서 만든다 (1) | 2018.12.26 |
---|---|
재료관리 데이터 만드니… 영업이익률 3배로 껑충 (1) | 2018.12.07 |
생산 스마트화 쉬워지는 새로운 개념의 로봇 플랫폼 등장 (1) | 2018.11.12 |
옆으로 펼치니 7.3인치 '태블릿 폰'… 세 가지 앱이 화면에 (1) | 2018.11.09 |
AI스피커와 스마트폰, '스마트글래스' 등장 땐 사라질 유산 (1) | 2018.10.27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