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끝 제조업 살리려면…'노동·기술경쟁력 끌어올려라"


한국경제 성패는 국내총생산(GDP)의 30%를 차지하는 제조업에 달려 있다. 정부도 제조업 활성화를 통해 고용유발 효과, 일자리 창출, 수출 확대 등을 꾀하고 있다. 이른바 '제조업 르네상스'를 통해 침체된 경기를 일으키겠다는 목표다. 

하지만 제조업 상황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 특히 제조업 일자리 감소는 경제 전반의 침체로 확산될 우려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제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을 비롯해 노동시장 개혁, 차세대 성장동력 발굴 등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정부 제조업 대책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먼저 노동생산성 향상과 기술경쟁력 강화, 차세대 기술 개발 등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문 대통령도 19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정부가 여러 차례 제조업 대책을 마련했고 스마트 공장·규제 샌드박스 등 다양한 정책수단으로 제조업 혁신을 지원하고 있지만 현장 체감도는 낮다"고 언급했다. 

노동생산성의 경우 노동시장 유연성을 제고해 현장에서 생산성을 높이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노동생산성이 낮다는 것은 생산에 비해 노동력을 많이 투입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생산이 떨어져도 노동을 줄이지 못하는 게 현실인데 노동시장 유연성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유신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는 "개인 소득은 기본적으로 기업에서 나오고 정부 재정도 기업에서 나온다"며 "기업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끌어내야 제조업 살리기 정책이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제조업 지원과 기술경쟁력 강화 방안도 절실하다. 정 교수는 "새로운 원천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기존에 개발한 기술을 잘 보호하고 이를 응용기술로 활용해 사업화 하는 과정이 매끄럽게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며 "산업 생태계가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해야 제조업 활성화를 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업들의 활발한 활동 지원도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주력산업 위기 이야기는 끊임없이 나오고 있고, 차세대 산업도 경쟁력을 얻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아주경제 3월 22일 내용 일부)

소견)정부는 기업이 활발히 활동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과 규제, 통상 환경에서 불안감을 불식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고, 기업은 신성장 동력을 얻기 위해 기술분야 개척을 서둘러야 하는데 이또한 과감한 실천이 중요합니다.


by 이남은 2019. 3. 25. 00:30

*"中 제조업, 10년내 美 수준으로"


중국 칭화대의 류바이청 교수는 "중국 제조업의 문제는 R&D(연구개발)

 비중이 낮고, 핵심 기술이 없고, 자원낭비·환경오염이 심각하다는 것"

이라며 "여기에 미국·독일 등 선진국들은 제조 거점을 본국으로 이동

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제조업 르네상스'를

 부르짖으며 "아이디어를 낸 곳에서 제조까지 완료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세계의 공장이었던 중국에 직격탄이다.

류 교수는 "더 이상 공장으로 만족하면 세계 산업계에서 밀려날 것"이라며

 "이젠 중국에서 직접 아이디어부터 제조까지 완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곳이 중국의 통신장비·스마트폰 분야에서 세계 선두권 업체로

 성장한 화웨이다. 제2, 제3의 화웨이를 발굴하는 것이 과제인 것이다.

(조선비즈 10월15일 내용 일부)

소견)류 교수는 "중국에서는 '인터넷 플러스(+) 제조업'이라는 말이 유행한다"

고 말했으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기계, 공장, 시스템 등을 모두 

인터넷으로 연결해 관리하고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하는데 귀추가 주목됩니다.








by 이남은 2015. 10. 20.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