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국토교통부가 기아자동차, 쌍용자동차,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가 판매한 6개 차종 2만 5633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리콜에 들어간다고 5일 밝혔다.
기아차에서 제작한 K5(JF) 차량 1만 4357대는 진공펌프 브레이크 호스 연결 부위가 손상돼 브레이크 페달이 무거워지고 제동 성능이 떨어지는 점이 확인됐다. 같은 회사의 K7(YG) 차량 5729대는 주행 도중 간헐적으로 시동이 꺼지는 현상 등이 발견됐다. 이는 엔진 인젝터(엔진 내부 실린더에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 끝단에 있는 연료 분사량 조절 기구의 불량 탓이다. 이 두 차종은 6일부터 기아차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
쌍용차 티볼리 4494대의 경우 정차 후 출발이 지연되는 현상이 발견됐다. 코란도 51대는 타이어 공기압 경고 장치가 안전 기준에 맞지 않아 리콜을 하고, 국토부는 안전 기준 부적합에 대한 과징금도 부과할 예정이다. 6일부터 쌍용차 정비네트워크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받을 수 있다.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퓨전 213대와 링컨 MKZ 789대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안전벨트 결함으로 리콜된다. 이 차량들은 6일부터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공식 딜러 정비공장과 지정 정비공장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받을 수 있다.
국토부가 운영하는 자동차리콜센터 홈페이지(www.car.go.kr)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상시적으로 해당 차량의 리콜 대상과 구체적 제작 결함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신문 9월 6일자)
소견)고객클레임의 가장 치명타는 리콜이다. 품질을 잃으면 한순간에 모든 것을 잃을 수있다.불량제로는 시대적 요청이므로 Fool Proof장치를 활용하여 불량을 만들지 않는 시스템 확립이 중요합니다.
'품질향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생산시스템 ‘똑똑한 공장’으로 불량률 0.001% 실현 (1) | 2019.11.26 |
---|---|
Global Top 품질기업 도약해야 (1) | 2019.09.10 |
한국 품질경쟁력 우위 제품 ‘日의 절반’ (1) | 2019.08.21 |
벼랑끝 제조업 살리려면…'노동·기술경쟁력 끌어올려라" (1) | 2019.03.25 |
휴먼에러 낮춘 터크(터크코리아) 적용사례 (1) | 2019.02.18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