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세월이 흘러도 제조업이 추구하는 단 하나의 변치 않는 목표, 바로 ‘지속 가능한 성장’이다. 지금 이 순간 제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은 스마트팩토리로부터 시작된다는 사실에 이견이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독일 바이에른주 제2의 도시인 뉘른베르크에서 차로 약 1시간 정도 달리면 인구 4만 7000명 정도의 소도시인 암베르크(Amberg, 암벡)에 도착한다. 지멘스는 이곳에 약 70년 전인 1948년 처음 사업을 시작했으며, 1990년 ‘Electronics Works Amberg(EWA)’로 명명한 지금의 암벡 공장을 설립했다. 스마트팩토리란 개념조차 없던 30년 전이지만 당시 EWA의 건설 목표는 이미 공장의 투명성, 품질 강화와 생산기간 단축을 위한 ‘인텔리전트 팩토리 구축’에 있었다. 

EWA의 성장 비결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한마디로 정리된다. 이는 제품 가치사슬에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전체 프로세스를 하나로 통합하고, 일관된 디지털 스레드를 적용시킨 ‘완전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이란 뜻이다.
지멘스는 이를 위해 공동 데이터 스토리지와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팀센터(Teamcenter)를 적용해 데이터 백본을 구성하는 모든 단계의 데이터를 통합·연계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했다.

다시 말해 제품의 전체 가치사슬이 데이터의 끊김 없이 연속성을 갖도록 협업 플랫폼을 구성한 것이 첫 번째다. 이어 각 공정별 데이터를 디지털 트윈으로 확보해 굳이 현장에 나가지 않아도, 두 눈으로 직접 보는 것보다 더 폭넓게 생산라인의 모든 것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 것이 두 번째이자 디지털 트윈의 핵심이다

( 테크월드 4월 16일 내용 일부)

소견)이런 지멘스의 프로세스와 접근법을 벤치마킹한 전략으로 공장 디지털화에 도전해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by 이남은 2020. 4. 19. 00:29

*‘발등에 불’ 떨어진 기업들, 생산성 높이기 복안은?


OECD 기준으로 2016년 한국의 1인당 연평균 노동시간은 2069시간이다. OECD 회원국 평균보다 305시간이 더 많다. 최장 노동시간을 기록한 멕시코(2255시간) 다음이다. 일각에선 한국 정부가 OECD에 실제보다 과소 집계된 노동시간을 보고한 탓에 멕시코에 밀렸다는 웃지 못할 분석도 있다.

이런 가운데 주 52시간 근로제가 시행됐으니 기업 입장에선 고민일 수밖에 없다. 노동생산성이 떨어지는데 업무시간까지 줄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의 낮은 생산성이 긴 노동시간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바꿔 말하면 노동시간이 줄어들면 어느 정도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근로시간 단축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노동시간이 줄어들면서 근로자 10인 이상 제조업체(1만1692개)의 노동생산성은 연평균 1.5% 증가했다. 일정 수준 이상의 노동시간이 그동안 생산성을 떨어뜨렸다는 분석이다.

물론 주 52시간 근로 체제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된다 해도 총생산이 많을지는 미지수다. 기업의 지상과제인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선 주 52시간 근로 체제에서 더 많은 총생산이 이뤄져야 한다. 업계 전반이 업무 효율을 높여야 하는 고민에 맞닥뜨리게 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500개 중소기업 대상으로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해 대처방안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기업들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투자(31%)를 ▲인력충원(25%)보다 우선시했다. 

기업 입장에선 사람을 더 투입해 비용을 늘리는 것보다 생산성 제고를 효율적인 대처라고 보는 것이다. 그 다음으론 ▲생산량 축소(21%) ▲공정자동화 투자(17%) ▲근로자 생산성 향상(14%)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기업들은 고용에 앞서 생산성 유지 방안으로 ▲근태 및 업무시간 관리 ▲전사적자원관리(ERP) 도입을 통한 업무 효율성 제고 ▲스마트 팩토리 구축 ▲키오스크(무인결제시스템) 도입 등을 꼽았다.

(디지털데일리  8 월 12일 내용 일부)

소견)중소기업중앙회가 500개 중소기업 대상으로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해 대처방안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기업들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투자(31%)를 인력충원(25%)보다 우선시 하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by 이남은 2018. 8. 15.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