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日기업들의 장기불황 극복 ‘4대 차별화 전략’은 현지화-히트상품-새가치-M&A
일본 생활용품기업 유니참은 20여 년 전 인도네시아 시장에 처음 진출하면서
기저귀 제품을 원점에서부터 재검토해 하나하나 뜯어고쳤다. 현지 소비자
들의 가장 중요한 선택 기준이 가격이란 점을 파악하고 불필요한 기능을 과감히
없애기 위해서였다. 가격을 시중 제품의 절반으로 떨어뜨렸다. 전력 사정이
좋지 않은 점을 알고 포장지도 눈에 잘 띄는 노란색으로 바꿨다. 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유니참은 현재 아시아 시장 유아용 기저귀 판매 1위 기업에 올랐다.
보고서는 장기 불황을 극복한 일본 기업들의 핵심 성장전략을 시장 제품 가치
사업 등 4가지로 나눠 분석했다. 첫 번째로는 철저한 현지화로 신흥 시장에서
성공한 일본 기업들로, 스즈키, 비포워드, 유니참을 소개했다. 스즈키는 인도
에서 저가 소형차 전략으로 현지공장을 짓고 판매·서비스 분야까지 철저하게
현지화해 인도 자동차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한 기업이다. 비포워드는 아프리카
소비자들에게 모국어로 전자상거래를 가능하게 해 기업 매출의 70%를 아프리카
시장에서 내고 있다.
경쟁사가 모방할 수 없는 히트상품을 개발해 블루오션을 창출하는 것도 저성장
시대 성장 전략으로 꼽혔다. 대표적인 일본 기업은 ‘유니클로’. 유니클로는 옷을
‘공업제품’으로 재정의 내린 뒤 기존에 없던 기능성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해 시장에서 성공했다.
(동아닷컴 4월 12일 내용 일부)
소견)저성장 시대에는 비효율성만 줄이는 근시안적 변화로는 기업이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샐러리맨의 유토피아 미라이공업과 연극을 했던 이디야커피 회장...“문화가 기업 최후의 경쟁력이다" (1) | 2017.05.03 |
---|---|
3D프린터가 가져올 제조 혁신 (1) | 2017.05.01 |
포드와 GM이 자율주행 차 테슬라 우버 보다 앞선 이유 (1) | 2017.04.10 |
주차의 끝판왕, 국내 도입이 절실한 '땅콩 주차장?' (1) | 2017.04.08 |
현대모비스, 3D프린터 시제품 활용 본격화... 제조혁신 추진 (1) | 2017.04.01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