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매년 초 미국에서 열리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의 주인공 자리는 언제나 TV와 스마트폰의 몫이었다. 하지만 자동차 업체의 참가가 늘어나면서 CES가 또 하나의 국제 모터쇼로 굳건히 자리잡고 있다. “미래에는 자동차가 단순한 이동 수단만이 아니라 삶의 질을 높여 주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기기처럼 인식될 것”이란 전망이 현실화하고 있다.
자동차 기술 발전 양상이 엔진의 성능보다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쪽으로 가는 만큼 업체들이 공개하는 신기술도 운전자에게 ‘자유’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커넥티비티 기반의 도심 공유형 모빌리티 콘셉트 ‘엠비전 S’를 최초로 공개한다. 차량 실내는 업무를 보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라운지 형태로 제작됐다. 자율주행 모드 여부에 따라 좌석의 배치도 달라진다. 가상공간 터치 기술을 적용해 손짓만으로 영화나 음악을 선택해 감상할 수 있다. ‘먼저 가세요’, ‘조심하세요’ 등과 같은 문구나 웃는 표정으로 보행자와 소통하는 신개념 램프 기술인 ‘커뮤니케이션 라이팅’도 적용됐다.
지난해 국내에서 7만 8133대를 팔아치우며 수입차 판매 신기록을 세운 메르세데스벤츠는 대형 세단 S클래스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 콘셉트카 ‘비전 EQS’로 전시 부스의 문을 연다. ‘비전 EQS’는 1회 충전으로 기존 일반 전기차의 2배에 가까운 최장 700㎞를 달릴 수 있다. 350㎾급 급속충전기로 80%를 충전하는 데 20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자율주행 수준은 시스템의 개입 비중이 더 큰 ‘레벨 3’을 지원한다.
(서울신문 1월 7일 내용 일부)
소견)BMW는 차량 실내를 호텔의 스위트룸처럼 구성한 ‘i3 어반 스위트’를 처음으로 선보인다. 천장에서 내려오는 스크린과 개인용 사운드 존이 마련돼 탑승자는 편하게 업무를 보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어 향후 기대가 큽니다.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배터리의 질주, 2025년 반도체 뛰어넘는다 (1) | 2020.03.05 |
---|---|
‘테슬라 잡아라’…韓·中 전기차, 기술 확보 위한 합종연횡 승부수 (1) | 2020.02.19 |
日서 27번째 노벨상···샐러리맨 출신의 '리튬전지' 창시자 (1) | 2019.10.14 |
"행복은 신기루, 작은 즐거움으로 슬픔 덮고 살아야" 85세 정신과의사 이근후 (1) | 2019.08.28 |
실패로 끝난 세계 첫 태양광 발전 도로 (1) | 2019.08.20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