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의 폐업'..문 닫는 자영업자의 43%가 음식·소매업


폐업하는 자영업자 10명 가운데 4명은 음식점업이나 소매업을 운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종 자체가 경기에 민감한데다 공급과잉을 

겪는 탓에 차별화가 안 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0일 국세청의 2015년 국세통계연보를 보면 2014년 폐업한 자영업자

(개인 사업자)는 68만604명으로 집계됐다. 14개 업태별로 보면 식당을

 운영하다가 접은 자영업자가 15만6,453명으로, 전체 자영업 폐업 

가운데 23.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편의점, 옷 가게 등 소매업이 

14만366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소매업 폐업자는 전체의 20.6%로 

집계됐다. 음식업과 소매업 폐업 자영업자가 전체의 43.6%에 달한다는

 설명이다.폐업 사유는 사업 부진이었다. 음식점업을 그만둔 자영업자

 2명 중 1명(50.7%)이 사업 부진을 폐업 사유로 꼽았다.

소매업도 50.6%가 사업이 잘되지 않아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제 2월 10일 내용 일부)

소견)식당이나 소매업을 운영하던 자영업자의 폐업이 많은 것은 이들

업종의 진입 장벽이 낮아 자본금만 있으면 창업에 나서기 쉽기 때문

이다. 특히 은퇴 후 마땅한 노후 준비가 되지 않은 베이비붐 세대가 

이들 업종을 중심으로 창업 전선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심화하는 

양상이라서 사전 준비가 필수입니다.








by 이남은 2016. 2. 17.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