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아침 40분… 음악으로 임직원 '샤워'시키는 회장님  


아침 일찍 합창이 울려 퍼졌다. 지난달 19일 오전 8시 20분 충북 청주시 오창읍 '네패스' 2공장. 반도체 특수포장 회사인 이곳 임직원은 국내 사업장 7곳 모두에서 이렇게 하루를 연다. 강당에 모여 40분 동안 노래 몇 곡을 함께 부르고 서로에게 감사 편지를 쓴다.

이들은 먼저 스마트폰을 꺼내 '마법노트'라 불리는 앱에 각자 뭐라고 썼다. 직장 동료인 당신이 이렇게 저렇게 도와줘 고맙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합창이 시작됐다. 첫 곡은 "괜찮아 힘을 내봐/ 너는 혼자가 아니야/ 언제나 너의 곁에/ 내가 함께 있을 거야~"로 흘러가는 '힘내쏭'. 공장 안에 활기가 돌았다.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 '노래만큼 좋은 세상' 등이 이어졌다.

이병구(71) 네패스 회장은 지난 8월 한국경영학회가 선정하는 강소(强小)기업가상을 받았다. 그가 개척한 '음악 경영' '감사(感謝) 경영'에 대한 평가다. 네패스 임직원은 마주칠 때마다 '수퍼스타(Superstar)!'라고 인사했다. 대당 50억원에 달하는 반도체 장비에 어느 날 '감사합니다. 가동률 100%'라는 스티커를 붙였더니 고장 건수가 10분의 1로 줄어들었다고 한다. 감사와 노래가 심장이 없는 기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다니. 숨겨진 비밀이 궁금했다.

―화를 내면 어떻게 되나요.
"성내는 사람은 기분이 풀릴지 모르지만 들은 사람은 그 상처가 하루 종일 또는 며칠 가지요. 결과적으로 성과를 방해해요."

"인생도 3% 바닷물처럼"
바닷물과 민물에서 각각 거둬들이는 수확량은 하늘과 땅 차이다. 바닷물은 염도 약 3%의 소금물. 이 회장은 "하루 24시간 중에 3%에 해당하는 40여분을 투자하면 민물 같은 인생이 바닷물처럼 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제조업은 시간이 돈입니다. 2000명이 매일 합창과 감사 편지 등에 쓰는 시간을 생산에 투자하는 게 더 이득 아닐까요.
"일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에 절대로 마이너스가 아닙니다. 생산성에서 몇 배의 효과가 있어요."

(조선일보 10월 21일 내용 일부)

소견) '수퍼스타!'는 나를 낮추며 상대가 내 부족함을 채워줄 수 있는 사람이라고 보는 인사말이고. 명령은 일하는 사람을 어떤 박스 안에 가두는 것과 같습니다. 지금은 나이나 경험이 많다고 임원이 모두 보고받고 결정하는 시대가 아니니 저희는 아랫사람에게 '보고해' 대신 '공유해주세요'라고 말합니다. '회사의 감성적인 언어'가 실적과 직결된다고 믿고 지속추진에 박수를 보냅니다.




by 이남은 2017. 10. 23.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