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박주근 대표 “제조혁신 ‧ M&A ‧ 제조업의 서비스화 필요”
박 대표는 4차 산업을 ‘명사’ 중신의 시대가 아닌 ‘동사’ 중심의 시대라고 규정했다. 산업화 시대에서는 물리적 제품이 명확해 상품과 산업의 경계가 분명한 시대였다면 4차 산업의 시대는 상품과 산업의 경계가 소멸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렇다면 각 나라에서는 4차 산업 혁명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을까. 현재 미국의 4차 혁명은 구글, IBM 등 ‘민간이 주도’하고 있다. 독일은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자동화 설비 등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 역시 5차 산업혁명선도전략을 발표하고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4차 산업은 더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내 기업은 지난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매출성장률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500대 기업을 업종별 매출 증감률을 살펴봐도 유통, 에너지 업종이 소폭 성장했을 뿐 2014년 이후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기업의 역동성도 저하됐다.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독일, 미국 등은 기업교체율(진입률‧퇴출율)이 40%대라면 우리나라는 20%대에 불과했다. 또한 2006~2010년 5년 보다 2011년 2015년 5년의 변화도 독일과 미국은 개선된 반면 우리나라는 29.8%에서 25%로 오히려 떨어졌다.
5년 잔존율은 70% 수준인데, 업종이 변화하는 것이 아닌 동일기업의 진입 및 퇴출이 반복되고 있다. 신규 진입과 탈락 업종이 활발하다는 것은 업종 내 생태계가 역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건전한 경쟁관계가 형성되고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박 대표는 4차 산업에 대한 국내 기업 대응 전략으로 “중견‧중소기업을 비롯해 국내 기업들의 제조 혁신이 시급하다”며 “또한 기술변화가 빠른 ICT 등 첨단산업에서 M&A 등 전략적으로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10월 17일 내용 일부)
소견)국내 제조업을 서비스화해 산업구조를 고도화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 금융, 보건, 주거, 문화, 교통, 안전 등에서 ICT를 결합한 생활밀착형 서비스 산업으로 진출해야 하는 것에 100% 동감합니다.
'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하 삼보모터스<주> 대표 (1) | 2017.10.26 |
---|---|
매일 아침 40분… 음악으로 임직원 '샤워'시키는 회장님 (1) | 2017.10.23 |
크린토피아, 로열티만 받는다… '상생 경영'으로 가맹점 2500여개 (1) | 2017.10.20 |
혁신 없이 미래 없다, 총체적 위기의 자동차 산업 (1) | 2017.10.18 |
“30초 안에 반품 완료” 월마트, 아마존 맞서 차별화 전략 (1) | 2017.10.17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