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부품·소재 국산화, 반도체 전방산업 육성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과학기술계, 연구계에서 수십 년 간 제기돼 왔다. 지난해부터는 일본이 이를 이용한 경제 보복을 단행할 수도 있다는 것이 충분히 예견돼 왔고 어느정도 대비를 하고는 있었으나 아직까지 최선의 대응책을 찾지 못한 건 분명한 사실이다.

현재 화이트리스트 제외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정부는 출연연을 앞세워 소재·부품·장비·기술 연구지원 강화 등 R&D 대응마련에 착수했으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서는 출연연 등의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R&D현황을 파악하고 분석 중인 상황이다.

한 출연연 관계자는 “소재나 부품 생산기술이 경제무기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은 항상 제기돼 왔다”며 “정부가 밀던 국내 R&D 시스템에 대한 지원 방식에서부터 잘못된 부분도 있다. 기술 국산화를 위해선 R&D 시스템부터 전면적 개편을 해야 하며 이제는 더 이상 원천기술 개발을 미룰 수 없다. 산학연이 모두 협력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 기술 국산화에 대해 파악하고 연구개발 산업을 키워야 할 것”이라고 소회했다.

또 다른 출연연 관계자는 “정부의 출연연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는 계속해서 확대되고 국내기술에 대한 논문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논문에서 그친 부분이 많다”며 “우리나라의 자체개발기술에 대한 특허 수나 실제 상용화된 기술 수가 미흡한 상황이라 이번 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대한 대응책은 물론이요 향후 나아갈 국내 기술에 대해 탄탄한 길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선 독자적인 기술에 대한 꼼꼼한 현황 조사 및 개발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금강일보 8월 4일 내용 일부)

소견)기술국산화는 생산기술을 향상시키는 일이 전제조건입니다.생산제품은 그 자체 경쟁회사의 제품을 입수 할수 있으나 그 제품의 구조 등은 상대회사에 명확하게 알게되나 만드는 방법을 유추할 수는 없습니다따라서 제품 만드는 방법을 결정하는 생산기술은 타사와 차별화하는 매우 중요한 핵심기술입니다.

by 이남은 2019. 8. 7. 0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