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요즘 패스트푸드점엔 음식 주문을 받는 사람이 없다. 전자 키오스크에서 원하는 메뉴를 터치하고 신용카드로 결제해야 한다. 기업의 콜센터도 바뀌고 있다. 대화창에 궁금한 것을 입력하면 챗봇(chatbot·사용자의 질문에 알맞은 답을 찾아 제공하는 인공지능)이 알려준다.
최근 많은 분야에서 인공지능과 로봇이 사용되면서 사람들의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아디다스가 2016년 독일에 설립한 신개념 공장 '스피드 팩토리'는 과거 600명에 달했던 생산직 대신 단 10명의 인력이 일한다. 스피드 팩토리 사례를 보면 앞으로는 공장에 로봇 팔과 컨베이어벨트, CCTV만 필요하고 사람은 없어도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스마트공장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공학만큼 인문학도 중요하다. 기술과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지만 사람에 대한 이해 역시 없어서는 안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에 대한 이해를 기술과 데이터로 구현하는 일이다. 사람과 기술을 동시에 잘 이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최근 대학의 동향과 정부의 지원방향은 주로 데이터를 잘 다루는 기술자를 먼저 육성한 다음에 이들이 인간에 대한 이해력을 갖기를 희망하는 것 같다. 반대로 인간을 이해하는 교육을 먼저 시킨 다음, 기술과 데이터에 대한 이해력을 키워주는 것에는 큰 관심이 없어 보인다.
인공지능이 발전하면 기술적인 문제는 인공지능의 힘을 빌어 해결할 수 있다. 코딩하는 인공지능이 나오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하지만 인간을 이해하는 인공지능은 당분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은 공통적이다. 이와 같이 우리는 두 가지 방향 중 하나를 간과하고 있다.
최근 문과계열 학생들은 ‘문송’이라는 자조 섞인 이야기를 한다. ‘문과라서 죄송하다’는 말이다. 취업도 되지 않을 뿐더러 기술하나 못 배운 모자란 사람이라는 탄식이다. 하지만 인간에 대한 이해가 없는 기술은 사람을 도구로 전락시키는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
(조선비즈 9월14일 내용 일부)
소견)우리가 원하는 미래사회를 위해서는 인간이 행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문과생이 기술에 대해 이해하고, 인간을 보다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데 나서야 합니다.
'저비용 고효율 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F㈜ 장성준 대표, 토종기술 적용된 스마트팩토리로 기업 이윤 창출에 기여하고파 (1) | 2019.10.02 |
---|---|
로봇 대중화 시대, 공존을 지향합니다 (1) | 2019.09.24 |
치킨 튀기는 로봇?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로봇 혁명 (1) | 2019.09.11 |
1분에 참치캔 1200개…동원 창원공장 올해 생산량 역대 최대 (1) | 2019.09.08 |
스마트 팩토리 실현, 포에스텍 ‘스마트 지게차 관리시스템’이 선도한다 (1) | 2019.09.03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