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인구위기와 청년 일자리
청년실업이 증가하면서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3포세대도 늘고 있다.
취업을 못하니 결혼을 포기하거나 늦추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게다가 결혼은 하더라도 아이는 낳지 않겠다는 딩크족이 늘면서 출산율
저조와 국가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져 또다시 일자리 감소라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종점이 없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실업률이 높아지고 출산률이
낮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직면한 미래에 예측
가능한 가장 큰 위기라고 본다. 하지만 이러한 위기를 우리 사회와 정부는
이미 예측하고 있으며 다각적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지자체에서도 일자리 문제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도
인구증가 및 확보를 위해서다. 일자리가 있어야 인구가 유입되고 인구유입이
경쟁력 확보와 경제회복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맞춰 올해 경기도
에서도 경기도일자리재단을 설립해 일자리 문제 해결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부일보 11월 8일 내용 일부)
소견)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저출산에 따른 인구위기와 청년 일자리
문제는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갖고 함께 해결해야할 당연한 시급한 과제
입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전장 기업 하만 인수…"경쟁력 강화·시너지 효과 기대" (1) | 2016.11.17 |
---|---|
한국GM, '내수 점유율 10%' 숙원 이루나 (1) | 2016.11.16 |
LG전자, 일렉트로룩스 제치고 `백색가전 세계 2위`…조성진 프리미엄 전략 통했다 (1) | 2016.11.06 |
일본 소비시장의 새로운 물결 ‘체험 소비’ (1) | 2016.10.30 |
구글이 VR에 이토록 미쳐있는 이유는 모바일 대체할 최종 플랫폼이기 때문 (1) | 2016.10.28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