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견·중소 97% "5년 이내 AI 도입할 것"

중견·중소기업 대다수가 5년 이내에 AI(인공지능) 기술을 기업 운영에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30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의 '글로벌 성장 바로미터(Global Growth Barometer)' 설문 조사에 따르면 언제 AI를 도입할 것이냐는 질문에 국내 응답 기업 97%가 "5년 이내"라고 답했다. 글로벌 기업의 90%에 비해 높은 숫자였다. 특히, 2년 이내에 AI 기술 도입을 원한다고 응답한 중견·중소기업은 국내 87%인데 반해 글로벌 기업 67%로 나타났다. 한국 중견·중소기업이 AI 기술 도입에 얼마나 강한 기대를 품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조사 결과다. 

이번 조사는 국내 중견·중소기업 102곳을 포함, 전 세계 33개국 2766개 중견·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했다. 

한국 중견·중소기업의 첨단기술 에 대한 높은 기대는 생산성 향상 요인에 관한 조사에서도 나타났다. 한국 기업인들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요인을 기술(36%), 규모의 경제(31%), 공급망 효율(20%), 기업 문화(7%), 직원 재교육(6%) 순으로 꼽았다. 글로벌 기업인들은 기술과 규모의 경제를 같은 수준(27%)으로 중요시했고, 기업문화의 중요성을 한국 기업인들보다 높게(16%) 여겼다.

한국 중견·중소기업들은 성장을 위한 최우선 전략으로 신규 해외 시장 진출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고려됐다.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찾는 방법에 대한 질문에 가장 많은 한국 기업(28%)이 신규 해외 시장 진출을 꼽았다. 기존 상품의 이윤을 높이는 방안을 꼽은 기업은 두 번째로 많았다(25%). 글로벌 기업의 경우 기존 상품의 이윤 증대가 30%로 1위, 신규 해외 시장 진출이 20%로 2위였다. 국내 기업은 또, 20%가 인수합병(M&A)을 성장 전략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는데, 이는 글로벌 기업의 17%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메트로 8월 30일 내용 일부)

소견)중견·중소기업 대다수가 5년 이내에 AI(인공지능) 기술을 기업 운영에 도입검토하고 성장을 위한 최우선 전략으로 신규 해외 시장 진출을 하려면 스마트팩토리로 제조혁신을 해야합니다.



by 이남은 2018. 9. 1.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