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현대차 울산 3공장 89%가 무결점… 꿈의 ‘스마트 공장’ 눈앞
‘차체 쏠림(왼쪽).’ ‘시트 장착 불량.’
지난 12일 오후 현대차 울산3공장. 품질 테스트에서 결함이 발견되자 곧바로
모니터에 결함 사유가 떴다. 해당 공정에도 즉시 통보가 됐다. 차량은 수정
작업장으로 옮겨졌다.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일들이 정보기술(IT)과
접목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바뀐 것이다. 불량률 ‘제로’에도 도전할 수 있게
됐다. 과거에는 사람이 직접 종이에 결함 내용을 써서 다음 공정에 전달했기
때문에 전달 과정에서 종이가 사라지면 결함이 수정되지 않은 채 출고될 수도
있었지만, 이제는 전자펜으로 결함 유무를 체크하기 때문에 수정 작업이
완료되지 않으면 출고 자체가 안 된다.
실시간으로 결함이 보고되면서 모니터에 뜨는 ‘직행률’(불량 없이 한 번에
통과한 비율) 수치도 계속 바뀌었다. 오후 1시 현재 ‘직행률’은 89.23%. 100대
중 약 89대만 수정 작업 없이 무사 통과했다는 의미다. 조립, 검차 주행, 수밀
(물이 새는지 점검하는 검사) 등 세 가지 품질 테스트에서 ‘트리플 100점’을 받지
못하면 결함 차량으로 분류된다.
(서울신문 1월 16일 내용 일부)
소견)1월 1일부터 11일까지 누적 직행률은 87.2%로 내부적으로 정한 목표치는
달성했고 올해 12월 92.2%까지 올리는 게 목표라는데? 100%까지 끌어올려야
품질완결시스템이 성공하고 도요타를 이길수 있는 지름길입니다.
'품질향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샘, VR·AR로 고객 불만 잡았다 (1) | 2017.05.05 |
---|---|
동양피스톤 "스마트공장 추진 이후 불량률 26% 줄어" (1) | 2017.03.07 |
'똑똑한' 공장이 '잘난' 제품 만든다 (1) | 2017.01.14 |
협동로봇,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고 생산성 높여 (1) | 2017.01.10 |
제조 품질 넘어 안전·감성 품질 시대로 (1) | 2016.12.24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