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10대 뜯어 보며 열공한 조성진… “G6, 승산 있다”  


화웨이, 오포, 소니 등 다른 부스도 쭉 돌아봤는데 ‘G6’가 충분히 승산이 

있겠더라고요.” 

 생활가전에서의 40년 경험을 투영시키기도 하고, 때로는 제3자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왜 스마트폰 사업이 어려움에 처했는지를 분석했다고 한다. 

집무실에 가져다 놓은 휴대전화만 30여종. 이 중 10대가량은 직접 분해까지 

시도했다. 물론 화웨이 등 경쟁사 제품도 포함됐다. 그는 “경쟁사는 ‘위’

(프리미엄 제품)에서 ‘밑’(보급형 제품)에까지 똑같은 부품을 썼는데 우리는 

각기 다른 제품을 적용해 온 걸 알게 됐다”면서 “앞으로 좋은 부품을 보급형

 제품에도 써 대수를 키우면서 총원가를 떨어뜨리는 작업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부품 조달 능력이 커져 좋은 부품을 쓰더라도

 비용이 크게 들지 않을 수 있다는 가전의 경험을 활용한 것이다. 

스마트폰 시장을 처음 접한 그는 “MC사업본부가 힘든 건 알았지만 시장이 

이렇게까지 터프한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세탁기, 냉장고는 신제품이 나오면 

어찌 됐든 지속적으로 판매가 되는 데 반해 스마트폰은 초반에 인기를 끌지 

못하면 곧바로 사장돼 버린다는 의미에서다. 그의 요즘 고민은 신제품이 

실패하더라도 그다음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연결고리’(부품 공용화, 모듈화 등)를

 어떻게 만드느냐다. 조 부회장은 “G6가 실패한다는 생각은 갖고 있지 않지만

 대안(플랜B)은 준비하고 있다”면서 “G6 하나 때문에 사업이 휘청거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신문 3월 1일 내용 일부)

소견)부품공용화와 모듈화를 통해 좋은 제품을 보급형 제품에도 써 대수를 

키우면서 제조원가를 줄이겠다는 전략은 베리굿입니다.





by 이남은 2017. 3. 3.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