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혁신 같은곳 바라보는 한·중…한발앞선 기술개발 필요


중국 제조업이 기존 가격·물량에서 질적 경쟁력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다. 

우리와 비슷한 방향으로 제조업 혁신을 추진 중이어서 한발 앞선 기술개발과 

차별화 전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5일 산업연구원(KIET 원장 김도훈)이 내놓은 ‘제조강국으로 도약하는 중국’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달 ‘중국제조 2025’ 전략을 발표하고 제조업 

고도화에 착수했다.중국제조 2025는 향후 30년간 제조업 발전 전략을 담았다.

 2025년 제조업 수준을 독일·일본 단계로 높여 세계 2강 대열에 진입하고,

 2035~2049년 제조업 1강으로 올라서는 것이 목표다.

중국은 일정 규모 이상 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R&D) 지출 비중을 

2013년 0.88%에서 2025년 1.68%로 높인다. 주요 제조·공정에 정보기술(IT)을

 융합한 지능형생산시스템(IMS)을 구축한다. 차세대 정보기술, 신소재, 바이오

의약 등 10대 핵심산업을 지정해 집중 육성한다. 이를 바탕으로 생산량 확대에

 치중했던 기존 전략에서 벗어나 명품화를 꾀한다.

중국제조 2025는 한국 정부가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제조업 혁신 3.0’과 유사

하다. 한국 역시 IT를 융합한 스마트공장 보급에 힘쓰고 있다. 중국 10대 핵심

산업 육성은 우리의 스마트 융합제품 조기 가시화와 맞닿는다.

(전자신문 6월15일 내용 일부)

소견)우리 정부와 제조기업이 차별화된 스마트 융합제품을 지속 개발하면서 이를 

뒷받침할 소재부품을 국산화에 박차를 가해야 합니다








by 이남은 2015. 6. 23.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