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구조물 사업에 뛰어든 알루미늄 전문기업 ‘알루코’
“알루미늄은 중량이 스틸에 비해 1/3 가벼운데, 이는 핸들링하기가 쉽다는
의미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는 말과 상통하며, 결국 공사비가 절감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알루미늄 소재의 경우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해
시공 후 20년에 달하는 발전소 운영 기간 동안 재도장 등의 유지보수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발전소 운영기간이 끝나면 100% 재활용이 가능해
다시 재판매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중장기적으로는 알루미늄이
스틸 대비 경제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가벼운 중량은 안정성 측면에서도 이점으로 작용한다. 국내의 경우 REC
가중치로 인해 공장지붕이나 기존 구조물 상부에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
하는 경우가 많은데, 알루미늄을 적용하면 하부 구조물에 부담을 덜 수
있어 한층 안정성이 높아지는 까닭이다. 또한,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볼트
및 너트 조립방식에 의해 용접이 필요없으므로 도시미관도 해치지 않는다.
김 본부장은 “이처럼 여러 장점을 가진 당사의 알루미늄 태양광 구조물은
최근 경량화가 필요한 공장지붕이나 기존 건축물의 옥상에 태양광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프로젝트와 관련해 많은 설치 요청을 받고 있다”면서,
“특히 부식에 민감한 염전지역이나 제주도 등 해안지역에서의 적용시
관련 업체 및 기관으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솔라투데이 7월8일 내용 일부)
소견)알루미늄 소재는 기존 스틸 소재보다 초기 투자비용은 많이 들지만,
설비 설치 후 유지관리 비용까지 고려한다면 알루미늄 소재가 오히려
경제성이 높고 알루미늄 소재의 경우 스틸 소재보다 한층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기에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건비도
절감할 수 있는것이 메리트입니다



- 저자
- 이남은 지음
- 출판사
- 42애비뉴 | 2013-11-11 출간
- 카테고리
- 기술/공학
- 책소개
- 저자는 생산기술 분야에서 24년, 치구 설계 분야에서 10년,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