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는 공장 자동화가 아니다"
“스마트팩토리와 공장 자동화는 전혀 다릅니다. 기간으로만 봐도 공장 자동화는
2, 3년 전부터 적용해오던 것이며, 스마트팩토리는 등장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개념입니다.”
제조에는 관련된 물품 조달, 물류, 소비자 등 다양한 엔티티(객체)가 존재한다.
스마트팩토리는 이 객체에 각각 지능을 부여하고 이를 IoT로 연결해 자율적으로
데이터를 연결·수집·분석하는 공장이다. 공장 자동화는 컴퓨터와 로봇과 같은
장비를 이용해 공장 전체의 무인화 및 생산 과정의 자동화를 만드는 시스템을 말한다.
“실제로 현재 공장 현장에서는 단위 공정별로만 자동화, 최적화가 이뤄져 있습니다.
공정이 서로 유기적이지 않지요. 그래서 데이터가 개별적으로 수집합니다.
반면 스마트팩토리는 '연결성'으로 이뤄져 있지요. 데이터를 수집하면 데이터
끼리 연계가 가능합니다. 이것이 스마트팩토리와 공장 자동화의 가장 큰 차이점
입니다.”현재 대량생산 시스템의 생산성 향상 분야에서 스마트팩토리는 초기
단계로, 현재는 핵심 부분에 적용된다기보다 환경 제어와 같이 영향이 적은 보조
분야부터 조금씩 실행되고 있다.
홍승호 교수는 헬스케어 같은 일부 분야에서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Industrial Internet
of Thing)이 이미 도입한만큼, 공장에도 IIoT를 도입해 스마트팩토리 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블로터앤미디어 3월 15일 내용 일부)
소견)스마트팩토리를 받아들이고자 하는 기술과 의지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만
이런 문제 논의가 어느정도 이뤄지고 나면, 2-3년 뒤 스마트팩토리 가시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러나 중견기업은 구축가능하나 중소기업은 어렵습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