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2시간 근무제의 대안 '스마트팩토리'

한국에 적합한 현장형 컨설턴트 필요
부산에 소재한 중견기업 (주)부산주공은 2년 전 인력에 의존했던 공정의 일부를 로봇을 투입해 자동화함으로써 3명이 1대의 가공기를 담당하던 공정에서 1명이 16개의 가공기를 담당하는 공정으로 개선했다. 이 결과는 공장 근무자들이 자신의 공정을 잘 알고 공정의 효율화를 통해 스스로 이뤄 낸 결과다. 공장의 생산라인은 현장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가장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현장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센싱값들 중에 실제 활용이 가능한 DATA가 되느냐, 아니면 필요 없는 노이즈가 되느냐 하는 것은 얼마나 공정을 개선하고 활용하느냐 에 성패가 달린 것이다. 그래서 한국형 스마트팩토리는 현장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는 인공지능이 결합된 형태인 현장형 컨설턴트가 필요하다. 현재 20%의 자동화 설비와 80%의 인력으로 운영 중인 공장을 스마트팩토리 사업으로 50%의 자동화 설비와 50%의 인력 비율로 변경시키는 것은 많은 부작용이 따른다. 현재 20%의 자동화 설비는 어떤 형태로 가동되는지, 80%의 인력은 언제 일하고 언제 쉬는지 이런 값들이 레고나 테트리스 블록처럼 시각화된다면 언제 어떤 자원을 투입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게 되고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
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 많은 제조업 공장들은 지멘스나 GE와 같은 거대하고 스마트화된 공장들이 아니라 우리의 중소제조업체들과 같은 현실에 맞는 자동화공정과 인력공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며 “이에 적합한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만들어 디지털이라는 옷을 입힌다면 전 세계 시장을 한국형 스마트팩토리로 석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기신문 9월 6일 내용 일부)

소견)단순히 대규모 투자로 값비싼 자동화장비를 채우는 것은 스마트팩토리의 본질을 흐리는 것입니다. 현장의 특수성과 목적을 이해하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통해 사람이 더 안전하고 행복하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사람중심의 진정한 스마트팩토리가 아니겠습니까?


by 이남은 2018. 9. 11. 00:30

*품질관리에서 '전사적 카이젠'으로…구미(歐美) 추월한 일본기업의 비결


공정 개선을 통해 제조단계의 불량률을 줄이는 데 상당한 성과를 거둔 일본 

기업들은 불량률이 낮다는 것은 소비자에게 사랑받기 위한 하나의 조건에 

불과하다는 것을 자각하게 됐다. 즉, 소비자에게 좋은 품질로 사랑받기 

위해서는 마케팅 부서가 소비자 니즈를 경쟁자보다 앞서 찾아내고, 개발부서가

 그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고 설계하는 데서 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자연스럽게 일본 기업의 품질관리는 적극적으로 소비자 니즈를 

찾아내 그에 맞는 제품을 개발한다는 ‘개발 중심의 품질관리’로 발전했다. 

이런 방식의 품질관리를 마케팅, 개발, 생산, 구매, 애프터서비스 등 모든 품질

 관련 부문이 참여한다고 해서 종합적 품질관리 또는 TQC라고 부르는데,

 일본 기업들은 이것을 전사적 품질혁신 운동으로 전개했다.

전사적 혁신운동으로 전개하기 시작하자 기획, 인사, 재무·회계와 같이 품질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지원부서는 소외됐다고 느끼게 됐다. 여기서 품질이란 

개념을 제품 품질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업무나 과정의 품질, 사람의 

품질, 나아가서는 회사의 품질을 의미하는 총체적 품질인 TQ로 보고 모든 부서, 

모든 계층, 모든 사람이 참여하자는 ‘전사적 품질관리’ 운동인 CWQC(company-

wide QC) 운동으로 확대됐다. 이것을 어떤 사람들은 그대로 TQC로 부르기도 한다.

(한국경제 12월 2일 내용 일부)

소견)품질이란 개념은 경쟁력의 핵심인 품질이란 용어로 대표될 뿐이지 경쟁력 

요소인 원가, 납기나 시간, 서비스 등이 모두 포함된 것이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TQC는 경영을 잘하자는 것과 같은 개념이 되고, TQC는 경영의 품질을 올리자는

 혁신운동으로 지속적으로 추진해야합니다.




by 이남은 2016. 12. 4.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