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속도에서는 성공했다. 그러나 대량생산까지는 아직 시기상조다."

글로벌 스포츠 시장을 이끌고 있는 아디다스가 4년에 걸친 `스피드팩토리` 생산성 향상실험에 결국 실패했다. 노동집약적 신발 생산 방식을 바꾸고자 로보틱스·머신러닝·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총망라한 스피드팩토리를 구축했다가 4년 만에 공장 중단을 결정한 것이다.아디다스는 가동 중단 이유에 대해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고 있지만, 시장은 3D 프린팅 기반의 제작 방식에서 실패의 원인을 찾고 있다. 한 해 수억 개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 대량생산 방식에서 아직까지는 첨단 프린팅 기술이 `사람의 손`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생산성 혁신을 위한 아디다스의 과감한 도전과 개방형 협업 노력은 평가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아디다스그룹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독일 안스바흐와 미국 애틀랜타의 스피드팩토리 가동을 내년 4월 중단한다"며 "스피드팩토리 기술을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 공장 두 곳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아디다스 측은 "우리 제품의 90% 이상이 아시아에서 제조되고 있어 공급업체와 노하우 등이 모인 곳에 생산을 집중하는 것이 더 이치에 맞는다"고 추가 설명했다.

3D 프린팅으로 신발 밑창을 만드는 오에츨러의 정밀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제한된 규모의 3D 프린터 설비에서 `정밀공정`과 `대량생산`이라는 상충적 목표를 실현하기에는 아직도 기술적 한계가 많다는 지적이다. 단적으로 지난해 아디다스가 생산한 4억켤레 중 절반을 스피드팩토리에서 감당하려면 3D 프린팅을 통한 생산역량이 지금보다 무려 200배나 향상돼야 한다.

글로벌 기업들에 스마트팩토리 운영 솔루션을 제공하는 한 기업 관계자는 "아디다스가 비록 스마트공장 문을 닫지만 과감한 도전정신과 지난 4년의 공장 운영을 통해 얻은 방대한 데이터는 제2의 도전을 준비하는 자산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매일경제 11월 13일 내용 일부)

소견)3D프린터가 수작업 못따라가 신발 年4억개 중 100만개만 담당했고 속도가 빨라져 대량생산을 못해 중국·베트남으로 공장 이전한다고 합니다. 왜? 3D프린터의 속도 개선하면 가능하지 않겠습니까?

by 이남은 2019. 11. 15. 00:55

*20년 匠人 손길 거쳐 탄생하는 '딤채'...국내 최대 김치냉장고 생산 거점 아산 공장 가보니


대유위니아는 1995년 만도기계 아산사업부 시절에 김치냉장고 '딤채'

 출시한 이후 약 20년 동안 김치냉장고 시장점유율 1위를 거의 놓치지 

않고 있다. 1999년 외환위기 때 한라그룹이 위니아만도를 컨소시엄에 

매각했고, 이를 2014년 대유그룹이 인수하면서 대유위니아로 사명을 

변경했다.회사의 주인이 수차례 바뀌는 동안에도 아산공장의 핵심 

직원들은 거의 바뀌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다. 


최성준 본부장은 "아산공장 직원의 평균 근속연수는 20년을 훌쩍 뛰어넘는다"

며 "이들 대부분이 김치냉장고가 처음 등장한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일해온

 숙련공"이라고 치켜세웠다. 전자기기 제조업체의 직원 평균 근속연수가 

20년을 상회하는 건 이례적이다. 

딤채가 생산되는 과정에는 '사람의 손'이 많이 간다. 대부분의 전자제품 

생산기업이 가급적이면 대부분의 공정을 자동화하는 것과 달리 대유위니아는

김치냉장고 성능의 핵심 부품인 냉각기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숙련공이 

직접 하나하나 제품을 손수 작업해 부착하는 공정을 고집하고 있다. 

(조선비즈 11월 20일 내용 일부)

소견)냉각기를 부착하는 작업을 할 때 미세한 간격의 차이에 따라서도 

김치맛의 차이가 생길 수 있어 그만큼 중요한 작업이기 때문에 김치냉장고가

 처음 등장했던 시절부터 일해온 핵심 인력들이 아직도 이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하는데 사람은 실수를 할수밖에 없어 분명히 한계가 있습니다.





by 이남은 2016. 11. 22.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