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리쇼어링(Re-shoring, 기업 귀환) 정책의 성패를 가를 핵으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 최고수준에 도달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면 해 기업들의 국내 복귀를 막는 가장 큰 부담인 인건비 걱정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전통 제조업의 부활도 꾀할 수 있어서다. 스마트 팩토리로의 전환이 일자리를 뺏아갈 것이라는 우려도 생산성 향상을 통한 투자확대를 통해 충분히 불식시킬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국고용노동연구원은 2016년 발표한 연구결과에서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당 평균 4.2명의 고용 증가를 예상했다.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면 이를 운영할 현장 인력이 필요해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이 수치가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인해 줄어드는 일자리보다 많은 셈이다.

게다가 글로벌 수출 교역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게 낮아진 상태다. 지난해 맥킨지글로벌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상품교역의 약 18%만이 인건비 절감형이다. 단순한 인건비 경쟁력보다 수요기업 연계성, 수급 리스크, 인프라 발달정도 등을 고려한 공급망 분산 추세라는 게 연구소의 결론이다. 세계 최고수준의 4차산업 혁명 기술을 토대로 스마트팩토리를 국내에 손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규제완화와 지원이 뒤따른다면 기업들이 굳이 해외로 나갈 이유가 없다는 얘기다.

소견)자동화 등 비용 경쟁력 확보·품질 제고·고부가가치화 등을 위해 유턴기업에 스마트공장 우선 지원 및 지원수준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신규구축의 경우 현재 최대 1억원에서 1억5000만원으로, 고도화에는 최대 1억5000만원에서 2억원으로 높일 계획이라고 말해 기대됩니다.

by 이남은 2020. 6. 1. 00:17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