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4차 산업혁명위 "스마트공장 도입해 생산성 향상해야"


"우리 경제가 재도약하려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생산성을 향상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정종필 중소기업 4차 산업혁명위원회 위원은 17일 제3차 위원회에서 제조업 위기를 극복하려면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오전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는 위원들과 학계·업계 관계자 약 30명이 참석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방안을 논의했다. 

성균관대학교 스마트팩토리융합학과 교수인 정 위원은 주제 발표에서 "지난해까지 5003개 회사에 스마트공장이 보급됐고 3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을 발표하는 등 관심과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높은 수준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려면 정량적 목표를 지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 위원은 "제조업의 단계별·업종별 고도화와 제조-서비스 융합·혁신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R&D) 투자, 솔루션 공급자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공급기술에 대한 실증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임춘성 공동위원장, 조주현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인재정책관, 전은경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등이 스마트공장 지원 시스템 전환과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위원회는 이날 논의된 내용을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와 관련부처에 건의할 계획이다. 

(아시아경제 7월 17일자)

소견)먼저 회사 전체의 기본 관리기본 기술의 수준이 안 되어 있는 공장에 무조건 스마트공장을 추진하게 되면 생산에 막대한 손실을 준다.투자자본 수익률을 맞출 수 없어 존폐의 위기에 몰린다. 그러므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솔루션을 받아들일 수준을 만들기 위해 기본이 안되어 있는 공장은 먼저 공정 합리화활동을 해야 한다.

1단계) 낭비제거 실시 : 35S, 개선의 시발점이며 기본관리를 확립한다.

2단계) 공정 합리화 : 현재 공정을 보다 쉽고 보다 간단하고 보다 편하게 개선하여 기본기술을 확립한다.

3단계) 스마트공장 : 소형자동화, 부분자동화, 반자동화를 추진해야 한다.




by 이남은 2018. 7. 19.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