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 확산으로 산업경쟁력 높여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 회의를 통해 2022년까지 전국 2만 곳에 스마트팩토리를 구축, 일자리 7만50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한, 전문인력 양성을 도움으로써, 스마트팩토리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공장의 스마트화 수준 제고를 꾀한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으로 생산성 향상, 경쟁력 강화는 물론 중소기업의 근로환경이 개선, 청년이 찾아오는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면 크게 반길 일이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현재 구축된 스마트공장을 조사해보면 공장당 평균 2.2명씩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된다”고 밝혔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으로 제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면 바람직한 일이다.


세계는 지금 1차·2차·3차산업혁명을 거쳐 정보통신기술(ICT)과 제조업이 융합하는 4차산업혁명기에 접어들었다. ICT와 제조업의 융합을 통한 제조업의 서비스화는 제조업의 효율을 높이면서 각국은 제조업의 비중을 확대하는데 몰두하고 있다. 또한, 선진국들은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 제조업 분야 숙련공들의 노하우를 공유하고 전수하는 시스템을 개발, 생산인구 감소를 극복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 스마트팩토리는 스스로 생산, 공정통제 및 수리, 작업장 안전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공장의 스마트화는 새로운 제품 생산뿐 아니라 에너지 소비나 제조업 근로자의 노동환경 등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기계·설비 등을 원격지에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통근 자체가 불필요하고 안전한 장소에서 쾌적하게 근무할 수 있게 되어 근로자 생활의 질이 향상된다.

(일간 리더스 경제3월 12일 내용 일부)

소견)스마트팩토리 구축으로 생산성 향상, 경쟁력 강화는 물론 중소기업의 근로환경이 개선, 청년이 찾아오는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면 크게 반길 일이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현재 구축된 스마트공장을 조사해보면 공장당 평균 2.2명씩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된다”고 밝혔다.이 일자리는 ERP나 MES 등을 컨트롤할 엔지니어 충원이라면 투자금액대비 매우 미약합니다.



by 이남은 2018. 3. 16.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