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장기침체의 원인과 처방


한국의 노동인구 증가 속도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한국의 출산율은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편이다. 보통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정책은 별 효과를 보지

 못한다. 출산율 저하 추세는 잠재성장률을 지속적으로 끌어내릴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베이비 붐 세대가 은퇴하기 시작하면서 

노동력의 증가 속도도 둔화하고 있다.

잠재성장률을 결정하는 또 다른 요인은 노동인구의 생산성이다.

 더 많은 자본이 경제에 투입되면 잠재성장률이 증가하고 노동인구

의 생산성도 더 높아진다. 과거 한국은 자동차 조선 반도체 등 노동력

과 자본을 쏟아부어 결실을 상대적으로 쉽게 거둘 수 있는 산업에 

자본을 투입해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경제성장률도 끌어올렸다.

지금은 그렇게 쉽게 과실을 따먹을 수 있는 산업을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한국은 가격 측면에서는 중국과, 기술면에서는

 선진국들과 경쟁을 해야 하는 처지다. 양쪽에서 압박을 받으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찾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동아일보 4월 24일 내용 일부)

소견) 장기적인 성장률 하락세를 완전히 되돌릴 수는 없겠지만 각기 

잠재성장률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더욱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by 이남은 2015. 5. 1. 00:30